26일 교육부가 내놓은 ‘초등학교 사회 6-1 교과서’ 검토본. 교육부 제공
내년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등을 촉구한 ‘촛불집회’가 소개된다. 1987년 민주화운동에 나섰다가 숨진 대학생 박종철·이한열 열사 관련 내용도 초등 과정에서 처음 다루기로 했다.
26일 교육부가 내놓은 ‘2019년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 현장검토본 적용 계획’을 보면, 새 교과서에는 ‘자유민주주의 발전과 시민 참여’에 대한 내용이 가장 앞단락에 배치된다. 시민들이 거리로 나서 첨예한 정치·사회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했던 대표 사례로 촛불집회가 소개됐다. 현장검토본은 촛불집회와 관련해 “일상생활에서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올바른 태도가 왜 필요할까요?” “시민의 정치 참여 활동이 우리 사회 발전에 왜 중요할까요?” 같은 물음을 던진다.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를 가득 메운 촛불시민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도 실렸다.
현장검토본에는 1987년 6월 민주항쟁을 앞두고 벌어진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사건과 시위 진압 경찰의 최루탄에 맞아 숨진 이한열 열사 관련 내용이 새로 들어갔다. 박종철 열사와 관련해서는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불법적으로 경찰에 끌려갔던 대학생 박종철이 고문을 받다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고 기술됐다. 이한열 열사에 대해서는 “시위에 참여했던 대학생 이한열이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다”고 쓰였다.
아울러 새 교과서에서는 과거 민주화운동에 대한 교육 비중도 늘어날 전망이다. 현장검토본에는 1960년 4·19 혁명 관련 분량이 기존 3쪽에서 6쪽으로 늘었고, 1987년 6월 민주항쟁도 기존 1쪽에서 3쪽으로 증가했다. 새 교과서는 이런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시민의 정치 참여 활동 확대’가 민주주의 발전에 밑돌을 놨다고 평가했다. 이전 교과서에서는 ‘자유민주주의를 위한 국민들의 노력’이라는 식으로만 기술됐다. 반면 기존 4쪽 분량으로 다뤄졌던 5·16 군사정변 관련 서술은 1980년 5·18 민주화운동과 하나의 단락으로 묶이면서 분량이 절반가량 줄었다.
현장검토본은 새 교과서를 내기에 앞서 학교 현장 등에서 바뀌는 교과 내용이나 분량을 검토할 목적으로 펴내는 책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습 자료로서의 유용성 등 현장 적합성을 검토해 오는 12월 최종본을 내놓을 예정”이라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수준 높은 사회 교과서를 완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