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삼성그룹의 ‘노조 와해’ 의혹과 관련해 6일 삼성전자서비스를 압수수색했다.
서울중앙지검 공공형사수사부(부장 김성훈)는 이날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삼성전자서비스 본사와 전·현직 임원 3~4명의 자택 등에 검사와 수사관들을 보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관련 기록 등을 확보했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삼성전자서비스 인사팀 등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검찰은 지난 2월 삼성의 ‘다스 소송비 대납’ 수사를 위해 경기도 수원시 삼성전자 본사 압수수색 과정에서 다스 관련 문건 외에 ‘노조 와해 전략’ 문건 6000여건을 확보했다. 검찰은 인사팀 직원이 갖고 있던 4개 외장하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다스 관련 문건 외 ‘노조 와해 전략’이 담긴 문건이 속속 발견되자 법원으로부터 부당노동행위 혐의와 관련해 압수수색 영장을 다시 발부받아 본격적인 수사에 나섰다. 서울지방고용노동청은 지난 2016년 삼성그룹의 노사전략 문건에 대해 불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고, 이 사건은 검찰에 미제로 남아 있는 상황이었다.
검찰이 이번에 확보한 6000여건의 문건에는 삼성전자 제품의 애프터서비스 업무를 담당하는 협력사 직원들이 ‘삼성전자서비스지회’ 노조 결성을 한 2013년 7월 전후부터 지난해까지 작성한 삼성전자의 노조와해 전략 등이 담겨있다. 특히 삼성은 대부분 문건에서 자신들만 알아볼 수 있는 약어나 암호 등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노조는 ‘NJ’, 문제직원은 ‘MJ’라고 표현했으며, 우군인 가족직원은 ‘KJ’라고 표현했다고 한다.
2015년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가 ‘삼성전자서비스 울산센터가 작성했다’고 공개한 ‘조직 안정화 방안’이라는 문건에도 “48명 중 6명을 ‘그린화’(노조에 가입한 인원을 탈퇴시킨다는 의미)하겠다”는 보고서를 작성하며 노조원을 ‘NJ’라고 기재한 사실이 드러난 바 있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문건 작성 등에 관여한 삼성전자서비스지회 관계자 등을 불러 조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