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월 동안 서울 구의회 의장단의 업무추진비를 분석한 정보공개센터의 ‘알권리 감시단’. 정보공개센터 제공
“업무추진비가 다 식비야. 하루에 몇 끼나 먹는지 모르겠네.”
24일 서울 이화동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정보공개센터) 사무실에는 서울 25개 구의회 의장단 업무추진비를 공개 받아 분석한 ‘알권리감시단’이 모였다. 정보공개센터 회원이자 지역 유권자들인 이들은 지난 3월 그동안 감시의 사각지대에 있었던 구의회 업무추진비를 분석해보자는데 뜻을 모았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알 건 알고 투표하자’는 바람이 원동력이었다. 10명의 ‘알권리감시단’이 각 구의회에서 자료를 받아내고 부족한 부분을 추가 요청하는 과정을 거쳐 자료 분석하는 데까지 꼬박 2개월이 걸렸다. 이날은 그 ‘대장정’의 끝을 알리는 회의였다.
‘대형 프로젝트’를 마무리한 이 날 회의에서는 그동안의 소회와 정보공개청구의 ‘노하우’가 오갔다. “공무원이 막 자료를 안 준다 할 때, 다른 데는 다 줬다고 하면 주더라고요” 서울 강동구에 사는 백은경씨가 웃으며 말했다. “저는 공무원들한테 나를 이용해서 잘못된 걸 바꾸라고 해요. 구청장이나 구 의장한테 가서 자꾸 괴롭히고 문제제기하는 민원인이 있으니까 이건 좀 바꿔야 한다고 말하라고.” 정보공개센터 운영위원인 박상호 알권리감시단장의 말이다. 서울 성북구에서 시민단체 활동을 하는 홍수만씨는 “구의회 뿐만 아니라 구마다 있는 도시관리공단이나 문화재단도 업무추진비를 엉망으로 공개해놓는다. 끊임없이 정보공개청구를 해볼 생각이다”라고 앞으로의 의지를 다졌다.
알권리감시단은 앞으로도 지금껏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던 지역의 정보들을 모아 공개하고 지자체나 국가기관에 개선을 요구할 계획이다. 참여 없이는 변화도 없다고 믿는 이들은 오늘도 눈을 부릅뜨고 동네의 문제점들을 찾아내며 깐깐한 ‘주민’으로 살아가고 있다. 정환봉 임재우 기자
bon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