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대입제도 개편안 시민참여단 설문 결과 공개 앞두고
조 교육감 “수능전과목 절대평가 전환, 정시 확대는 반대”
진보교육감 중심으로 새 대입제도 관련 비슷한 의견 줄이어
한쪽선 “객관성 담보되는 정시 확대해야” 의견도 팽팽
조 교육감 “수능전과목 절대평가 전환, 정시 확대는 반대”
진보교육감 중심으로 새 대입제도 관련 비슷한 의견 줄이어
한쪽선 “객관성 담보되는 정시 확대해야” 의견도 팽팽
2022학년도 대학 입시제도 개편안 확정에 앞서, 일부 시·도 교육감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위주의 정시전형 확대 반대와 수능 절대평가 도입을 잇따라 주장하고 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31일 ‘새 대입제도 개편에 대한 입장문’을 내어 “수능 상대평가로 인해 성적으로 학생 줄세우기, 성장 중심이 아닌 ‘선발’ 자체에 집중하는 입시제도라는 문제가 빚어졌다”며 “고교 정상화의 관점에서 수능은 전과목 절대평가로 방향을 전환하고, 이에 따라 고교내신도 절대평가 체제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입제도 개편의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수시-정시 비율과 관련해서도 그는 “단 한번의 시험(수능)으로 대학 입학을 결정짓기보다 3년간 공교육 과정에서 학생들이 얻은 결과를 평가해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덧붙였다. 지난 29일 끝난 ‘대입제도개편 시민참여단’의 최종 설문조사에서 ‘정시 확대’ 의견이 강하게 반영됐다는 전망이 나오자, 조 교육감이 이에 대한 우려를 공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앞서 김지철 충남교육감을 비롯한 진보성향 교육감 대부분도 “수능 위주 정시 전형은 소수 특권층을 위한 불공정한 전형이자, 학생 참여중심 수업 정책에 정면으로 어긋난다”거나 “사교육 혜택을 받기 어려운 농어촌 학교를 더 피폐하게 만들 것”이라는 이유로 정시 확대 반대와 절대평가 도입 등을 요구한 바 있다.
반면 수시 전형에서 사실상 당락을 결정짓는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신뢰도가 낮은 만큼, 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정시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시민단체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 등은 “내신 위주의 수시전형은 좋은 환경이 아닌 학생들에게는 ‘역전’이 어려운 불공정, 금수저 전형”이라며 ‘정시 비율 45% 이상’을 요구하고 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지난해 9월 서울 서초구 서초고등학교에서 예비수험생들이 ‘9월 모의평가’를 치르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