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민갑룡 경찰청장이 보건의료단체 대표 등과 응급실 폭력 사건 방지 대책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경찰청 제공.
지난 2일 인천시 남구의 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관절 통증을 없애는 주사를 놔달라고 요구한 환자가 잠시 기다리라는 간호사를 죽이겠다고 협박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같은 날 인천시 부평구의 응급실에서도 빨리 치료해주지 않는다고 환자가 의사의 뺨을 때리는 일이 일어났다. 홍철호 자유한국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응급의료 방해 신고 및 고소 건수는 2016년 578건, 2017년 893건, 2018년 상반기(1~6월) 582건으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이처럼 최근 ‘병원 응급실 폭행사건’이 크게 늘면서 경찰이 의료진 폭행에 대해 공무집행방해죄 수준으로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4일 밝혔다.
경찰청은 이날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등 보건의료단체들과 간담회를 열고 최근 응급실 등에서 발생한 의료진 폭행 사건 대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보건의료단체 대표들은 국민이 응급실에서 안전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실 내 폭력 사범에 대해 신속·엄정 수사하고, 범죄 예방 활동을 강화해줄 것을 경찰에 요청했다. 이에 대해 민갑룡 경찰청장은 “응급실 내 폭력사건 근절을 위해 사건 발생 시 신속 출동해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리하고 응급 의료진과 다른 환자들의 안전을 먼저 확보하겠다. 경찰관이 현장에 도착한 후에도 불법행위가 계속되는 경우 즉시 제압·체포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민 청장은 보건의료단체에 “폭행 사건이 벌어지면 수사에 협조하고, 응급실 내 비상벨 등 보안시설 설치, 경비인력 배치 등 자체 보안도 강화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경찰은 의료계와 복지부에 만취자 치료·보호를 위한 ‘주취자 응급의료센터’ 증설 검토 등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복지부 관계자는 “응급실 폭행 방지 대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주취자 응급센터 확대 등 인력·예산이 필요한 부분은 경찰·의료계와 함께 검토해 중·장기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