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개 시민단체 등의 모임인 용산참사 9주기 추모위원회(추모위)가 지난 1월15일 오전 진상조사위가 있는 서울 용산구 경찰청 인권센터(옛 남영동 대공분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경찰개혁의 가장 우선순위는 과거 잘못에 대한 재조사와 진상규명, 책임 있는 사과”라며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2009년 1월20일, 경찰특공대원 1명과 철거민 5명이 목숨을 잃은 ‘용산참사’는 “사람이 있다”는 호소에 귀 막은 무리한 진압의 결과라는 게 거듭 확인됐다. 당시 이명박 청와대가 ‘강력 사건으로 참사 보도를 막으라’는 취지의 경찰 홍보지침을 내리고, 경찰청 수사국이 온라인 여론전을 펼친 사실도 확인됐다.
‘경찰청 인권침해사건 진상조사위원회’(진상조사위)는 5일 이런 내용의 ‘용산참사’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당시 경찰청 수사국은 ‘정보국·경비국 등과 협조해 900명의 사이버요원을 동원해 인터넷에 경찰 옹호 글을 올리고 언론사 인터넷 투표에 적극 참여한다’는 대응 계획을 수립해 김석기 서울지방경찰청장에게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명박 청와대는 언론의 시선을 용산참사에서 돌리라는 경찰 홍보지침을 내리기도 했다. 당시 청와대 국민소통비서관실 행정관은 경찰청 홍보담당관에게 “본 사건을 통해 촛불시위를 확산시키려는 반정부단체에 대응하기 위해 ‘군포연쇄살인사건’(강호순 사건)의 수사 내용을 더 적극적으로 홍보”하라는 내용의 전자우편을 보냈다. 2009년 이 사실이 폭로됐을 때 청와대는 ‘행정관 개인 아이디어 전달’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진상조사위는 이날 “이례적으로 강호순의 얼굴과 신상을 공개하는 보도가 잇따른 점을 보면 청와대의 주장을 그대로 믿기 어렵다”고 밝혔다.
또 진상조사위는 경찰이 안전대책 없이 경찰력을 무리하게 투입했다고 결론 내리고, 순직한 경찰과 희생된 철거민 유가족에게 사과하라고 권고했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