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포 비리 관련 형사처벌 현황.
대검 ‘오포 비리’ 수사 남은 의문점
경기도 광주 오포 지역 아파트 인허가 비리 수사는 지난달 초, 한현규 경기개발연구원장이 체포되면서 물위로 떠올랐다. 이어 손학규 경기도지사와 정찬용 전 청와대 인사수석, 추병직 건설교통부 장관 등 고위직 공무원들의 개입 의혹이 줄줄이 터져나왔지만 검찰은 끝내 별다른 혐의점을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검찰, “손 지사 연루 단서 없어” = 한 원장이 정우건설과 장묘업체로부터 15억원을 받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관심은 손 지사로 옮아갔다. 한 원장이 경기도 정무부지사를 지내는 등 손 지사의 최측근이었기 때문이다. 검찰은 이에 앞서 조합아파트 시행업체 컨소시엄인 ㅇ건설의 권아무개(구속 기소) 회장으로부터 “손 지사 차 트렁크에 3억원을 넣어줬다”는 진술도 확보하고 내사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 원장은 “받은 돈은 다 개인적으로 썼으며, 손 지사에게 건너간 돈은 없다”고 진술했다. 정우건설로부터 “지구단위 계획 승인이 빨리 나도록 도와달라”며 받은 돈 10억 가운데 4억은 “받았는지 안 받았는지 기억이 안 난다”고 주장했다. 손 지사도 검찰의 서면조사에서 “한 원장의 금품수수 사실을 한 원장 구속 직전에 알았다”고 진술했다. 검찰은 4억원의 사용처를 밝혀내기 위해 한 원장 주변 인물의 47개 계좌를 샅샅이 추적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한 원장 주변에서 사용한 흔적을 찾아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경기도 광주시 신현리의 다른 건설공사와 관련해 손 지사에게 3억원을 건넸다는 권아무개씨의 주장에 대해서는 “다른 수사 단서가 없어 내사가 중단된 상태”라고 밝혔다. 새로 드러난 사실과 남은 의문점 = 정찬용 전 수석과 친한 브로커 이아무개씨는 수배 중이어서 청와대에 갈 수 없자, 정 전 수석 집으로 찾아가 오포 관련 민원을 청탁한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인허가 업무를 인사수석실의 직무범위로 볼 수 없어 직권남용죄를 적용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정 전 수석은 검찰조사에서 “공직자로서 사려없고 분별없는 행동을 했으며, 반성하고 있다”고 진술했다고 검찰 관계자는 전했다. 검찰은 수사과정에서 꾸준히 제기된 포스코건설의 직접 로비 의혹은 해소하지 못했다. 조용경 포스코건설 부사장이 손 지사를 찾아간 것도 ‘민원 차원’이라고 결론 내렸다. 정우건설이 프로젝트 파이낸싱 방식으로 2250억원을 대출받을 때 포스코건설이 지급보증을 섰지만, 검찰은 “로비 자금은 모두 정우건설의 돈”이라는 이유로 포스코 쪽에서는 오포사업단장인 김아무개 상무만을 뇌물 혐의로 기소했다. 한 원장 돈 5천만원을 고종사촌 처제 계좌로 전달받은 추병직 건설교통부 장관에 대해서도 검찰은 “선거법 위반죄로 기소돼 상고심을 앞두고 빌린 것이었는데 추 장관의 처제가 ‘돈을 불려주겠다’며 주식투자를 하다 모두 날려, 검찰이 상고를 포기했는데도 아직 갚지 못하고 있다”며 무혐의 처분했다. 그러나 추 장관이 고종사촌 처제 계좌로 돈을 송금받은 사실, 소송비용과 부인의 치료비용으로 빌렸다는 돈을 고종사촌 처제가 주식투자로 모두 날렸다는 사실 등은 여전히 의혹으로 남아 있다.
한편, 서울중앙지법 형사항소1부(재판장 이인재)는 9일 정 전 수석에게 민원을 제기하고 그 대가로 돈을 받은 브로커 이아무개씨에게 징역1년에 추징금1억3천만원을 선고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