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포비리’ 가시지 않는 의혹…“뭔가 더 있는 것 아니냐”
경기도 오포 아파트 인허가 비리 사건에 대한 검찰의 중간 수사결과 발표가 있었지만, 사실상 ‘청부감사’가 이뤄진 배경 등 감사원을 둘러싼 의혹은 말끔히 가시지 않고 있다.
이 사건과 관련해 매제인 브로커 서아무개씨에게 감사 진행 상황을 알려준 혐의(공무상 비밀누설)로 8일 구속 기소된 이구화(54) 감사관은 ‘청부감사’를 진행하고 검찰 수사가 시작되자 적극적인 증거 인멸에 나서는 등 감사원 간부로서 도덕적 불감증을 그대로 드러냈다.
그는 지난해 6월 서씨한테 부탁을 받고 “건설교통부를 감사하려면 근거가 있어야 하니 민원을 제기하라”고 귀띔했다. 그 뒤 정우건설 직원이 자신의 휴대전화로 민원을 접수하자 이를 상부에 보고하고 감사에 나섰다. 이 감사관은 같은 해 9월 유덕상 건설교통부 국장이 조건부 수정안을 제시했을 때도, “그 정도라면 민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며 “‘현행법대로 처리하겠다’고만 답변하면 건교부 직원에 대한 징계를 가볍게 할 수 있다”고 구체적인 해결 방향을 제시하기도 했다. 뭔가 믿는 구석이 없이는 저지르기 어려운 대담한 행동들이다.
이 감사관은 최근 검찰 수사가 시작되자 건교부 회신내용 가운데 자신에게 불리한 것을 삭제하고, 서씨와 함께 국외도피를 기도하기까지 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건교부 관계자들은 또 감사원이 지난해 1차 감사 뒤 “불허 입장을 시정하라”고 통보할 때 정식 문서가 아니라 전화로 통보한 것에 대해 “정식 감사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함께 대검 중수부가 특별한 연루 사실이 드러나지 않은 전윤철 감사원장에 대해 이례적으로 서면조사까지 한 것과 관련해서도, “공개되지 않은 감사원 관련 의혹들이 더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