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년 대선 후보 동향 106건으로 가장 많아
공운영씨 집에서 압수된 274개 도청 테이프의 내용을 보면, 국가안전기획부의 비밀 도청조직인 미림팀은 김영삼 정권 시절 정권 유지 및 연장을 위해 정치사찰에 주력했음을 알 수 있다.
14일 검찰이 대략적으로 밝힌 미림팀의 도청 내용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1997년 15대 대통령 선거와 관련된 여야 대통령 후보군과 후보 진영 주요 인사들의 동향이었다. 건수만 해도 554건 가운데 106건이다. 당시 여당인 신한국당 후보로 나선 경선주자는 이회창, 이인제, 이한동, 최병렬, 김덕룡, 박찬종, 이수성씨 등 이른바 ‘7룡’이었다. 당시 야당인 국민회의의 경선 후보는 김대중, 정대철씨였다.
94년 이기택 총재의 민주당, 김동길 대표의 신민당, 이종찬 대표의 새한국당의 야권통합 움직임도 22건을 차지했다. 95년의 첫 지방자치단체 선거와 관련해 각 당의 자치단체장 후보들의 동향은 19건, 95년 한 정당 대표(김종필 전 자민련 총재로 추정)의 민자당 탈당 동향이 13건, 95년 국민회의 창당 관련 움직임이 8건이었다. 대통령 선거나 정계개편 등 정국의 중요 고비 때마다 관련자들의 일거수일투족이 미림팀의 도청을 통해 그대로 정권 핵심에 전달된 셈이다.
94년 야권통합 움직임·지자체선거 등 정치사찰 주력
사생활도 일부 포함…대상은 정치인·공무원·언론인 순 김영삼 정부의 ‘역사 바로세우기’로 시작된 12·12, 5·18 사건 수사·공판 과정 및 전직 대통령 비자금 사건과 관련한 동향도 열몇 건씩 수집된 것으로 밝혀졌다. 수사에 참여한 검사나 재판을 주재한 판사도 도청됐을 가능성이 보이는 대목이다. 검찰이 압수한 274개 테이프에는 이 밖에도 인사·민원 청탁 45건, 개인 사생활 관련 내용 41건, 정부정책 현안과 관련된 것 16건 등이 포함돼 있다. 도청 테이프에 등장하는 인물 가운데 인적사항 파악이 가능한 사람은 646명이었으며, 이들을 직업별로 분류한 결과 정치인이 273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위 공무원 84명 △언론인 75명 △경제인 57명 △법조계 27명 △학계 26명 순이었다.
검찰은 미림팀의 주요 도청 대상은 정당 대표와 전·현직 국회의원, 국무총리, 장관, 청와대 비서실장과 수석비서관, 경찰청장, 언론사 주요 간부, 법조계 인사 등 이른바 ‘사회지도층’이었다고 밝혔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사생활도 일부 포함…대상은 정치인·공무원·언론인 순 김영삼 정부의 ‘역사 바로세우기’로 시작된 12·12, 5·18 사건 수사·공판 과정 및 전직 대통령 비자금 사건과 관련한 동향도 열몇 건씩 수집된 것으로 밝혀졌다. 수사에 참여한 검사나 재판을 주재한 판사도 도청됐을 가능성이 보이는 대목이다. 검찰이 압수한 274개 테이프에는 이 밖에도 인사·민원 청탁 45건, 개인 사생활 관련 내용 41건, 정부정책 현안과 관련된 것 16건 등이 포함돼 있다. 도청 테이프에 등장하는 인물 가운데 인적사항 파악이 가능한 사람은 646명이었으며, 이들을 직업별로 분류한 결과 정치인이 273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위 공무원 84명 △언론인 75명 △경제인 57명 △법조계 27명 △학계 26명 순이었다.
검찰은 미림팀의 주요 도청 대상은 정당 대표와 전·현직 국회의원, 국무총리, 장관, 청와대 비서실장과 수석비서관, 경찰청장, 언론사 주요 간부, 법조계 인사 등 이른바 ‘사회지도층’이었다고 밝혔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