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신화’ 김동완 “밤샘 촬영과 성 상품화는 같은 이유 때문에 일어난다”

등록 2018-12-31 11:50수정 2018-12-31 13:20

30일 밤 페이스북 페이지 글로 연예계 현장 모순 지적
아이돌 ‘신화’의 멤버 김동완씨. 김동완씨 페이스북 페이지 갈무리.
아이돌 ‘신화’의 멤버 김동완씨. 김동완씨 페이스북 페이지 갈무리.
뮤지컬 공연을 마치고 만든 팬들과의 만남 자리에서 연예계 제작 현장의 밤샘 노동 등에 대해 쓴소리를 한 사실이 뒤늦게 화제가 된 장수 아이돌 ‘신화’의 멤버 김동완씨가 직접 에스엔에스에 글을 올려 다시 한 번 밤샘 노동과 성 상품화에 대해 쓴소리를 했다.

김씨는 30일 밤 페이스북 페이지에 글을 올려 “최근 밤샘 촬영과 성 상품화를 언급하면서 뜻하지 않게 이슈가 되었다”며 “오랜 기간 방송 현장에서 활동하면서 자연스레 접하였던 사안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저의 생각을 짧게나마 글로 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김씨는 드라마 등 연예계 제작 현장 밤샘 촬영 관행에 대해 “밤샘 촬영은 주로 현장에서 일어나는 노동 착취에 대한 문제”라며 “갑의 위치인 사람이 제안하는 경우 스태프들은 쉽게 거절하기 어려운 분위기가 되고 이는 고된 밤샘 촬영으로 이어진다. 갑은 제작자나 작가 혹은 피디와 주연급 연기자가 되기도 하지만 그 어떤 경우에도 낮은 위치에 서게 되는 것은 그들에게 고용된 스태프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성 상품화에 대해서는 “그 대상이 남녀인지를 불문하고 각종 광고, 의상, 자극적인 모든 장면들을 통해 이루어진다”며 “방송 산업에서 성적 소구는 보편적으로 사용된 표현의 수단이었고 다양한 예술 활동의 소재가 되기도 하였으므로 정확히 어떤 상품화가 문제인지의 여부는 저 개인이 판단하기 매우 어렵지만 본인이 원하지 않는 경우의 성 상품화가 문제임은 분명하다. 특히 어린 연기자들이나 신인 연기자들은 본인이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나 권한이 매우 적은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김씨는 이어 밤샘 촬영과 성 상품화를 두고 “언뜻 보기에는 두 이야기가 조금 다른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이는 사람을 지나치게 도구로 취급한다는 점에서 결을 같이한다고 생각한다. 밤샘 촬영은 사람을 노동하는 도구로서만, 성 상품화는 사람을 성적 소구로서만 취급할 때 일어나는 현상”이라며 “이 같은 도구화가 본인이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문제가 아니라, 계약 관계와 갑을 관계 속에서 비자발적으로 ‘선택해야만’ 하는 환경이 되었다는 점에서 큰 문제의식을 느낀다”고 지적했다.

그는 “저 역시 자아실현과 목표를 향한 열망, 때로는 경제적인 이유로 기꺼이 (밤샘 촬영과 성 상품화)를 자처했던 경우도 있었다”며 “하지만 이때 누군가의 희생과 좋지 못한 선례가 따랐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중략) 갑을 관계 속의 구조적 문제라면 분명히 논의하여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씨는 마지막으로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이고 진짜인 ‘선택’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될 때까지 작은 목소리라도 내어 힘을 보태고 싶다”고 말했다.

서울 대학로 홍익대 아트센터 대극장에서 뮤지컬 <젠틀맨스 가이드 : 사랑과 살인편>에 출연하고 있는 아이돌 김동완씨가 뮤지컬 공연을 마친 뒤 기다리는 팬들과 함께 ‘퇴근길’ 팬과 대화를 하고 있다. 유튜브 ‘완두콩’ 화면 갈무리.
서울 대학로 홍익대 아트센터 대극장에서 뮤지컬 <젠틀맨스 가이드 : 사랑과 살인편>에 출연하고 있는 아이돌 김동완씨가 뮤지컬 공연을 마친 뒤 기다리는 팬들과 함께 ‘퇴근길’ 팬과 대화를 하고 있다. 유튜브 ‘완두콩’ 화면 갈무리.
앞서 김씨는 지난 21일 서울 대학로 홍익대 아트센터 대극장에서 뮤지컬 <젠틀맨스 가이드 : 사랑과 살인편> 공연을 마친 뒤 ‘퇴근길’ 팬과의 대화에서 “드라마하고 이러면 진짜 한 시간도 못 자고 이런 일들이 많은데, 저 같은 사람들이 잠을 못 잔다고 말을 해줘야 해요. 그렇다 해도 다른 사람들(스태프)은 저보다 한 두 시간 더 못 잡니다. 제가 6시간 자면 스태프들은 4시간 밖에 못 자서, 저는 늘 얘기해요. 잠 못 자는 일은 안 한다고”라며 “잠도 못 자게 하는 일은 정상적인 일은 아닌 거예요. 그런 일을 정상적이지 않다고 자꾸 말하는 사람이 많아져야 정상이랑 닮아가는 사회가 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 ‘신화’ 김동완, 드라마 밤샘 노동에 쓴소리 “정상 아니다”)

이하는 김동완씨가 쓴 페이스북 글 전문

밤샘촬영과 성상품화 그리고 선택.

최근 밤샘 촬영과 성 상품화를 언급하면서 뜻하지 않게 이슈가 되었습니다. 오랜 기간 방송 현장에서 활동하면서 자연스레 접하였던 사안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저의 생각을 짧게나마 글로 전하고자 합니다.

밤샘 촬영은 주로 현장에서 일어나는 노동 착취에 대한 문제입니다. 짧은 일정에 맞춰야 하는 상황이 올 때 누군가 밤을 새서라도 끝을 맺자고 종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갑의 위치인 사람이 제안하는 경우 스태프들은 쉽게 거절하기 어려운 분위기가 되고 이는 고된 밤샘 촬영으로 이어집니다. 갑은 제작자나 작가 혹은 피디와 주연급 연기자가 되기도 하지만 그 어떤 경우에도 낮은 위치에 서게 되는 것은 그들에게 고용된 스태프들입니다.

성 상품화는 그 대상이 남녀인지를 불문하고 각종 광고, 의상, 자극적인 모든 장면들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방송산업에서 성적 소구는 보편적으로 사용된 표현의 수단이었고 다양한 예술 활동의 소재가 되기도 하였으므로 정확히 어떤 상품화가 문제인지의 여부는 저 개인이 판단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원하지 않는 경우의 성 상품화가 문제임은 분명합니다. 특히 어린 연기자들이나 신인 연기자들은 본인이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나 권한이 매우 적은 것이 현실입니다.

언뜻 보기에는 두 이야기가 조금 다른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이는 사람을 지나치게 도구로 취급한다는 점에서 결을 같이한다고 생각합니다. 밤샘 촬영은 사람을 노동하는 도구로서만, 성상품화는 사람을 성적 소구로서만 취급할 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특히, 이 같은 도구화가 본인이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문제가 아니라, 계약 관계와 갑을 관계 속에서 비자발적으로 ‘선택해야만’ 하는 환경이 되었다는 점에서 큰 문제의식을 느낍니다. 이러한 시각 아래에서 기존의 관행이 답습되기만 한다면 ‘네가 선택했다.’ 는 이유만으로 개인의 자유와 노동의 가치가 보호되기 어려운 환경이 지속될 것이고, 장차 선택의 폭은 더 좁아질 것입니다.

한 때는 밤샘 촬영과 성 상품화가 오로지 개인의 문제라고 생각했던 적도 있었습니다. 저 역시 자아실현과 목표를 향한 열망, 때로는 경제적인 이유로 기꺼이 이를 자처했던 경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때 누군가의 희생과 좋지못한 선례가 따랐다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밤샘 촬영과 성 상품화가 자신의 이익을 위한 자발적인 선택이 아니라, 갑을 관계 속의 구조적 문제라면 분명히 논의하여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저의 일을 사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와 함께 일하는 동료, 스태프들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는 근무 환경을 만들고 싶습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이고 진짜인 ‘선택’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될 때까지 작은 목소리라도 내어 힘을 보태고 싶습니다.

이재훈 기자 n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