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비정규직 고 김용균 시민대책위원회’(시민대책위)가 22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고 김용균씨의 어머니 김미숙씨(가운데)가 눈물을 흘리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사고 발생 한 달 넘게 장례를 치르지 못한 태안화력 비정규직 노동자 고 김용균씨의 빈소가 충남 태안에서 서울로 옮겨졌다.
‘청년 비정규직 고 김용균 시민대책위원회’(시민대책위)는 22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고 김용균님을 서울대병원에 안치하고, 광화문광장에서 공동대표단이 단식농성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김씨의 빈소는 지난달 11일 사고 발생 직후 충남 태안보건의료원 장례식장에 차려졌다. 그동안 김씨 유가족은 이번 사고의 배경으로 지적돼 온 위험의 외주화 근절과 이를 위한 재발방지 대책수립, 철저한 진상조사와 책임자 처벌, 발전소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을 정부에 요구하며 김씨의 장례를 연기해왔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김씨의 어머니 김미숙씨는 “벌써 아들 용균이가 곁을 떠난 지 44일이 됐다. 부모 입장에서 자식을 계속 차가운 곳에 내둬야 한다는 것이 참으로 가슴 아프고 괴롭다”며 “서울에 올라오기 전에 모든 게 마무리되길 바랐지만, 서부발전과 고용노동부의 안이한 태도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대통령이 직접 해결해줬으면 하는 억울하고 비통한 심정으로 오게 됐다”며 눈물을 흘렸다.
고 김용균씨 유가족이 22일 오전 충남 태안보건의료원에 있던 고인의 관을 옮기며 눈물 흘리고 있다. 청년 비정규직 고 김용균 시민대책위원회 제공
이태의 시민대책위 공동집행위원장은 김씨의 빈소를 서울로 옮긴 배경에 대해 “대통령은 고 김용균님 사고에 대해 가장 깊은 애도를 표하고, 국민이 납득할 만한 진상조사를 하겠다고 텔레비전에서 말했다”며 “그러나 서부발전과 고용노동부 등에 진상조사를 요구했던 유가족과 동료들은 태안에서 전혀 다른 대접을 받았다. 대통령의 문제 해결 의지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 서울로 올라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준식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위원장 또한 “문재인 대통령은 참사 이후 정규직 전환 사각지대를 없애고, 해결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지만, 현재까지 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고용노동부는 아무런 움직임이 없어 보인다”며 “흩어졌던 가족이 모이는 것이 설 명절이다. 고 김용균님의 부모님이 이제 소중한 아들을 따뜻한 곳으로 보낼 수 있도록 설이 지나기 전 장례를 치르고 싶다”고 말했다.
시민대책위는 이번 사고에 대한 진상조사를 두고 고용부만 참여하는 특별근로감독 형태가 아니라 ‘위험의 외주화’ 문제와 직·간접적인 관련이 있는 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고용노동부 3개 부처가 모두 참여해 조사하고 이에 따른 재발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또한 발전소 연료와 환경설비 운전, 경상정비 업무는 공중의 생명·건강 또는 신체의 안전 등을 위태롭게 하는 ‘필수유지업무’에 해당하는 만큼 현 정부의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 따라 정규직화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18일 정부가 발표한 진상조사위원회 구성안을 보면, 산자부와 고용부는 관계 부처를 총괄한다는 의미에서 위원회에 포함됐지만, 공공부문의 인력과 예산을 다루는 기재부의 참여는 빠졌다. 이와 관련해 대책위 공동대표단인 이상진 민주노총 부위원장, 최준식 공공운수노조 위원장, 박석운 한국진보연대 대표, 김재근 청년전태일 대표, 김태연 사회변혁노동자당 대표, 이단아 혁명재단 이사 등 6명은 이날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단식농성에 들어간다.
선담은 기자
s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