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김용균씨의 장례식이 치러진 9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영결식에서 김씨의 어머니인 김미숙씨(가운데)가 눈물을 흘리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지난해 12월11일 충남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일을 하다 숨진 하청 노동자 김용균씨의 유족들이 18일 문재인 대통령과 만난다.
‘고 김용균 시민대책위원회’(시민대책위)는 김용균씨의 가족과 시민대책위 관계자들이 18일 오후 4시30분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면담을 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이태성 시민대책위 언론팀장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김용균씨가 숨진 뒤 정부가 꾸리기로 한) ‘석탄발전소 특별노동안전조사위원회’에서 사고의 진상을 제대로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해달라는 당부와 죽음의 외주화를 멈출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이야기 등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국회에서 위험의 외주화를 막는 이른바 ‘김용균 법’(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이 통과된 다음날인 지난해 12월28일 문 대통령은 “위험의 외주화를 방지하는 ‘김용균 법’이 어제 국회를 통과한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산재로 사망하신 고 김용균님의 모친 등 유족을 만나 위로와 유감의 뜻을 전할 의사가 있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유족과 시민대책위 쪽에서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발전 하청노동자의 정규직 전환 등이 받아들여질 때까지 대통령 면담과 김용균씨의 장례를 미뤄왔다.
지난 5일 정부와 여당이 사고가 난 연료·환경설비 운전 분야의 하청노동자들을 공공기관 소속의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내용을 발표한 뒤 유족과 시민대책위는 사고 62일만인 지난 9일 김용균씨의 장례를 치렀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