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고와 자율형사립고 등 이른바 '특권학교' 폐지에 동의하는 교육시민사회단체들의 연대모임인 '특권학교 폐지를 위한 촛불시민행동'이 지난 2017년 7월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신문로2가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들은 이날 전국시도교육청 및 정부청사 앞 1인시위와 금요일 정기 촛불집회, 조사 분석 사업 등을 통해 '특권학교' 폐지 운동을 벌인다는 계획을 밝혔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공부 좀 하면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자사고, 특목고 준비를 해요. 그런 학교에 가야 명문대에 간다는 분위기가 학교에도 있어요. 아이들은 스트레스를 받고, 부모들은 사교육을 시키게 되죠. 자사고들이 교육과정 특수성으로 포장하지만, 사실 일류대 보내기 위한 수단 아닌가요?”
서울 중랑구에서 중고생 자녀 셋을 키우는 학부모 이아무개(48)씨는 냉소적인 목소리로 말했다. 이씨는 대학도 모자라 고교까지 서열화돼 있는 현실이 빨리 개선되길 바란다. 그와 같은 학부모들은 자사고 22곳이 서울시교육청의 재지정 평가를 집단 거부하는 모습을 보며 씁쓸하기만 하다. 법으로 정해진 평가를 거부하고, 공정한 시스템으로의 개혁을 교육자들이 발목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5학년 자녀를 둔 최아무개(45)씨는 “지난해 교육감 선거에서 학부모가 17개 시·도 중 14곳에서 진보 교육감을 선택한 것은 공정 교육과 학교 혁신을 바라기 때문”이라며 “집단 반발에 개혁이 발목 잡히지 않기 바란다”고 말했다.
강경한 반발의 이면엔 자사고의 위기가 있다. 입시제도 변화로 내신 성적에서 불리해지고, 학생 우선선발권 등 특혜가 폐지되면서 최근 일부 자사고는 미달 사태를 겪고 있다. 위기의 자사고가 일반고에 진학한 우수한 성적의 학생을 편법으로 빼가는 일도 벌어진다. 한 일반고 교장은 “자사고가 전통 있고 교육과정도 좋고 교사들의 열정까지 있다면 왜 미달 사태가 났겠느냐”며 “교장 등이 학교를 혁신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고 편하게 일반고 학생들을 빼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지방과 달리 특히 서울은 자사고가 22개나 돼 부작용이 너무 크다”며 “우후죽순 들어선 자사고를 제대로 평가해 자사고 수를 줄여아 한다”고 주장했다.
자사고에 다니는 학생과 그 학부모들이 교육과정에 온전히 만족하는 것도 아니다. 일반고보다 비싼 학비를 내지만 원래 취지인 교육 다양성과 수월성 교육이 제대로 되는지 의심스럽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