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광화문광장 새 설계안을 보면, 정부서울청사 앞마당은 광장이 되고, 뒤쪽으로는 6차로의 도로가 지나간다. 서울시 제공.
새로운 광화문광장 설계안을 두고 이견을 보인 서울시와 행정안전부가 큰 틀에서 합의점을 찾았다. 서울시는 새로운 광화문광장으로 편입될 정부서울청사 땅과 일부 건물을 대체할 대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15일 “광장 조성 사업으로 편입되는 정부서울청사 토지 및 건물 등에 대해 청사로서의 기능유지에 충분한 대체 토지 및 시설 등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21일 나온 새로운 광화문광장 설계안 당선작을 보면, 새로 지어지는 6차로 우회도로가 정부서울청사 서쪽의 경비대·방문안내실·어린이집·남쪽의 조경사무실 등 4동의 건물을 침범하면서 건물을 철거해야 하는 문제가 생겼다. 또 서울청사 앞 도로와 앞마당이 모두 광장에 포함돼 차량이 청사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는 점도 문제였다.
때문에 정부청사를 관리하는 행안부가 해당 안을 반대하면, 서울시는 현재 설계안에서 계획한 우회도로를 설치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광화문광장 국제설계공모 최종 당선작 조감도. 서울시 제공.
행안부 관계자는 “(철거가 예정된 부속 건물 중에는) 어린이집이 가장 큰 문제였다. 법적으로는 직장어린이집을 정부청사에 둬야 한다”며 “실질적으로도 어린이집이 철거되면 당장 일하는 공무원이 피해를 본다.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진다”고 했다. 그는 이어 “서울시가 청사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와 장소에 똑같은 기능을 유지하는 합리적 안을 내놓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행안부와 큰틀에서 합의를 이룬 서울시는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사업을 위해 현재 경복궁 앞을 지나고 있는 기존 사직로의 우회도로를 만드는 도시계획변경안을 발표했다. 세부적으로 논의하는 안건은 △철거될 부속건물이 들어설 위치 △부속건물 건립 시기 △부속건물을 마련하는 방법 등이다. 행안부는 청사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연속성을 고려해 부속건물 건립 시기가 중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편,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 장관은 지난 1월25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새로운 광화문광장) 설계안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 그 설계안대로 하면 정부서울청사는 쓸 수가 없게 된다”며 “그런 안을 정부청사를 관리하는 행안부가 어떻게 받아들이겠는가. 서울시가 대안을 가져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강옥현 광화문광장추진단장은 “김부겸 전 장관의 말씀이 있었으나 갈등상황은 아니었다. 실무차원 합의가 안 됐던 것이다”며 “(이제 정부청사를 지나가는) 6차선 도로를 내는 것까지는 합의됐다”고 말했다.
이정규 기자
j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