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쪽에 ‘퍼주기’는 안 된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한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명사십리 해수욕장, 금강산에 가보고 싶어 한다. 남북 철도 연결은 한 마디로 ‘기차 타고 금강산 가자’는 것이다.”
민주노동당 초대 당대표와 민주노총 초대 위원장, 2선 국회의원 등을 지낸 권영길 사단법인 ‘평화철도와 나아지는 살림살이’(이하 평화철도) 상임대표는 ‘경원선(금강산선) 재연결을 위한 평화침목 기증 운동’의 취지를 이렇게 설명했다. 이 운동은 분단으로 끊어진 경원선 구간을 복원하기 위해 한 사람이 1만원씩, 100만명의 힘을 모아 경원선에 ‘평화침목’을 놓자는 취지로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백마고지∼월정리∼평강을 잇는 27km 구간에 깔 수 있는 콘크리트 침목을 기증한다는 계획이다. 이낙연 국무총리도 지난 3월 1만원을 기증했다고 전해진다.
5일 <한겨레>와 만난 권 대표는 “손에 잡히는 평화운동”을 강조했다. 그는 “여태까지 평화운동은 구호적이었다”며 “(남과 북이) 평화협정을 체결하자고 하는데, 국민에게 잘 와 닿지 않는다. 하지만 남북 간 철도를 연결하자는 데에는 누구나 거부감 없이 참여할 수 있다. 남북 철도 연결 운동은 한반도 평화 만들기의 출발점, 남북경제공동체 건설의 촉진제다”라고 말했다. 박근혜 정부도 경원선 복원 사업을 추진했던 만큼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은 보수, 진보 간 이견이 적어 ‘남남 갈등’을 일으킬 소지가 적고, 일반 시민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이 돌아간다는 것도 장점이란다.
권 대표는 평화침목 기증 운동이 ‘대북제재 해제’를 위한 ‘행동’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개성공단 재가동, 금강산 관광 재개, 남북 철도 연결 등이 대북제재에 막혀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며 “이런 대북제재는 사실상 ‘대남제재’이기도 하다. 이 사업들이 (북쪽뿐 아니라) 남쪽에도 절대적인 이익을 주는 사업이어서다. 이 운동은 ‘대북제재가 사실상 대남제재이기 때문에 해제돼야 한다’는 행동의 표시이기도 하다”라고 말했다. 남북은 지난해 4·27 판문점 선언에서 동·서해선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사업에 합의했고, 9월 평양 공동선언에 따라 착공식도 했지만 대북 제재가 계속되고 남북, 북미 대화가 교착된 탓에 아직 추가적인 진전은 없는 상태다.
평화철도는 11일 오후 7시 서울시청 다목적홀(8층)에서 남북철도 연결 촉구대회를 연다. 이날 행사에서는 유홍준 교수의 ‘미리 가보는 북한 문화유산 답사’ 특별 강연이 있을 예정이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