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오후 4시 기준 18호 태풍 ‘미탁’ 예상 이동 경로. 기상청 제공
18호 태풍 ‘미탁’이 한반도에 접근하면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이번 태풍은 2일 자정께 우리나라에 상륙한 뒤 남부지방을 관통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17호 태풍 ‘타파’ 이상의 영향을 전국에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2일 오후 4시 현재 태풍 미탁이 서귀포 서쪽 약 190㎞ 해상을 시속 30㎞로 지나고 있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이 태풍이 2일 밤 10시께 목포 인근 전남 해안에 상륙하고 남부지방을 통과해 3일 오전 경북 지역에서 동해로 빠져나갈 것으로 예측했다.
제18호 태풍 ''미탁''이 제주에 영향을 미친 2일 오후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앞바다에 거센 파도가 몰아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제주도와 전라도를 중심으로 내린 비는 점차 경상도와 동해안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태풍의 영향으로 2∼3일 제주도와 지리산 부근, 동해안에 시간당 50㎜ 이상(일부 100㎜ 이상)의 폭우가 쏟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태풍에 따른 예상 강수량은 남부지방·제주도·강원영동·울릉도·독도 100∼300㎜(제주도 산지, 경북 북부 동해안 등 500㎜ 이상), 충청도 80∼150㎜, 중부지방·북한 30∼80㎜(많은 곳 120㎜ 이상) 등이다.
제18호 태풍 ''미탁''의 영향으로 제주에 강한 비바람이 몰아친 2일 제주시 구좌읍 세화리 일대 도로에 구조물이 날려 어지럽게 널브러져 있고, 곳곳에서 안전조치가 이뤄지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적으로 강한 바람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4일까지 제주도와 대부분 해안, 도서 지역에 최대 순간풍속 초속 35∼45m의 매우 강한 바람이 불겠다고 기상청은 내다봤다. 특히 제주도와 일부 도서 지역에는 최대 순간풍속 초속 50m 이상의 강풍이 부는 곳도 있을 것으로 예보됐다.
이날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 접어든 제주 지역에서는 송수관 파열로 제주시내 2만여가구가 단수되고 주택 파손으로 이재민이 발생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 이날 오전 제주시 해안동 무수천이 범람해 정수장 송수관이 파열되며 제주시 외도·도평동·연동·노형동 등 지역이 단수됐다. 서귀포시 성산읍 신풍리에서는 강풍으로 주택과 창고가 파손돼 8명이 경상을 입고, 8가구 25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제주도에서만 30여건의 주택·도로 침수 피해가 접수됐고, 구좌읍 일대 327가구가 한때 정전되기도 했다. 제주시 구좌읍 구좌중앙초등학교 지붕이 강풍에 날아가는 사고가 있었지만 학교 휴업 중이라 학생은 없었다.
제18호 태풍 ''미탁''의 영향으로 남부지방에 폭우가 내린 2일 전남 목포시 석현동 임성천이 범람해 가물치 한 마리가 땅 위에 올라와 있다. 연합뉴스
전남 지역에서는 이날 70여건의 범람·침수 피해가 소방당국에 접수됐다. 전남 장흥에서 하루 사이 156㎜의 큰비가 쏟아지며 용산면 두암천의 둑이 넘쳤고, 대덕읍 옹암마을 인근 군도 3호선의 경사지 일부가 유실됐다. 완도군 완도읍 가용리 중앙초등학교 옆길 등 곳곳이 빗물에 잠겼다. 보성군 회천면 야산에서는 흙더미가 도로로 쏟아져 통행이 한때 통제되기도 했다.
윤기한 기상청 통보관은 “상륙할 때 태풍 미탁의 강도는 중급 소형일 것으로 예상된다. 17호 태풍 타파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조금 약하겠으나 태풍 중심이 남부지방을 관통하기 때문에 비바람은 타파 때보다 더 넓고 강하게 전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최예린 허호준 안관옥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