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유공자유족회와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5·18구속부상자회, 5·18기념재단, 5·18역사왜곡처벌농성단 등 광주 5·18 피해자들이 12일 오후 서울 신촌 연세대 앞을 출발해 연희동 전두환씨 집으로 행진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조사위원회는 27일 첫 전원위원회를 열고, 더불어민주당이 추천한 송선태 위원을 위원장으로, 국회의장이 추천한 안종철 위원을 부위원장 겸 사무처장으로 각각 선출했다. 위원회는 국회의장 추천 1명, 민주당 추천 4명, 한국당 추천 3명, 바른미래당 추천 1명 등 총 9명 위원으로 구성됐다.
이로써 위원회는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이 발효된 지 1년 3개월만에 구성을 마쳤다. 그동안 위원 구성을 두고 야당과 청와대가 이견을 보이면서 조사위 구성이 지연돼왔다. 조사위는 최대 3년간 진상규명 활동을 하게 되며, 사무처 직원을 포함해 52명으로 구성된다. 정부 부처에서 파견되는 15명을 제외한 34명은 별정직 공무원으로 신규 채용한다. 위원회는 직원 채용을 완료하면 조사 활동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현행 특별법 중 상임위원의 역할과 기능, 임기 등 입법미비 조항 등에 대한 개정안을 21대 국회에 건의하기로 결정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30일 국무총리실에서 상임위원에 대한 임명장을 수여한다. 조사위는 “5·18민주화운동과 관련해 제기된 의혹 등에 대해 본격적인 진실 규명활동에 나서면서 과거사의 아픔을 치유하고 국민적 화해와 통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