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명이 1억3천평 소유…송병준 2240만평 최다
일제 강점기 때 이완용 등 주요 친일파 인사들이 소유했던 땅 면적이 당시 수도인 경성 면적의 13배인 1억3000여평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미래정책연구원 홍경선 연구원(인하대 행정학과)은 박사학위 논문 ‘일제시대 토지의 국가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친일파 소유 토지 전체 규모를 이렇게 추산했다. 이 논문을 보면, 이완용 등 매국형 친일파 10명과 조선귀족회, 중추원 소속 친일파 31명 등이 보유한 땅은 1억3434만평(약 445.75㎢)으로 집계됐다. 이는 1927년 당시 경성 면적인 1063만평의 13배 수준이다. 또 현재 광주광역시 면적(501.44㎢)과 거의 비슷하며, 한반도 전체 면적인 22만1000㎢의 0.2%에 해당한다. 친일파가 소유한 토지의 전체 규모가 구체적으로 집계된 것은 이번 논문이 처음이다.
개인별로 보면, 송병준이 2240만여평, 박영효가 1708만여평, 이완용이 1370만여평을 소유했다. 중추원 귀족으로는 충남 공주지역의 갑부로 알려진 김갑순이 1001만여평을 소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홍 연구원은 일제시대 토지·임야조사부와 지주명부, 조선총독관보, 조선삼림회보 등 자료를 바탕으로 추산했다고 밝혔다.
홍 연구원은 “이들 친일 행위자는 국가 소유의 산을 빌린 뒤 다시 양도받거나 토지조사사업 과정에서 자기 땅을 늘리는 방법으로 수천만평에 이르는 땅을 소유했다”며 “이번 조사는 제한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친일행위가 뚜렷하게 인정된 사람의 경우만 포함했기 때문에 새로운 자료가 발견되면 친일파가 소유했던 토지 규모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