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산 남구 부산항에서 수출 컨테이너 화물이 선박에 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여파로 위기를 맞은 농식품 수출업계에 3804억원을 긴급 지원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5일 코로나19 여파로 피해를 본 농식품 수출업계를 돕기 위해 공적자금 증액, 금리 인하, 물류센터 추가 설립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재고 물품을 유통할 새로운 판매처 찾기에 나선다고 밝혔다.
먼저, 관련 수출업체에 애초 편성된 것보다 200억원 많은 3680억원의 원료구매자금을 지원한다. 중국에 수출하는 물량이 전체의 30% 이상인 업체에 대해서는 대출금리를 기존(2.5∼3%)보다 0.5%p 인하할 계획이다. 우리나라가 중국 안에서 운영 중인 공동물류센터(지난해 기준 15곳)를 2곳 더 늘리고, 중국 내 냉장·냉동 운송 지원 체계도 기존 20개 도시에서 25개 도시로 확대하기로 했다.
해외 판촉·마케팅 비용도 애초 편성된 것(91억원)보다 32억8천만원 증액해 관련 업계를 지원한다. 오래 유통되지 못한 라면, 멸균우유, 즉석식품 등은 중국 내 30여개 대형 유통매장과 연계해 판매를 촉진하고, 유제품·건강기능식품·영유아식품과 식자재(차·장·주류) 등은 중국 홈쇼핑과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에서 기획 판매를 추진하기로 했다.
인삼의 경우,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와 러시아에서 5∼6월 집중 홍보·판촉하고, 영화 <기생충>으로 화제가 된 면류·과자류는 미국 아마존을 시작으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등 해외 온라인 유통업체에서 차례로 기획 판매할 계획이다.
박병홍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중국을 비롯해 홍콩·싱가포르 등에서 소비가 크게 위축돼 우리 농식품의 수출 여건도 나빠졌다”며 “그러나 온라인 시장과 기능성 식품 시장은 오히려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그런 부분을 중심으로 시장을 개척하는 등 민·관이 힘을 모아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말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