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21] 한국 소종파의 역사
개신교 주류 교회 배척 시작되면 경계 넘어서
선지자 자처하다 말년엔 스스로 ‘신의 반열’에
신천지 ‘전신’ 장막성전은 1966년 당시 17살이던
소종파 운동 사상 최연소 유재열이 세워 화제
결국 사기죄 구속…교세 기운 뒤 이만희가 등장
개신교 주류 교회 배척 시작되면 경계 넘어서
선지자 자처하다 말년엔 스스로 ‘신의 반열’에
신천지 ‘전신’ 장막성전은 1966년 당시 17살이던
소종파 운동 사상 최연소 유재열이 세워 화제
결국 사기죄 구속…교세 기운 뒤 이만희가 등장
코로나19 확산을 계기로 신천지예수교증거장막성전(신천지예수교)과 개신교계 소종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겨레>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시사주간 <한겨레21>이 2013년 실었던 개신교 소종파 운동에 관한 기사를 다시 게재합니다. 어떤 혐오나 선입견 없이 ‘사회적 현상’으로서 소종파 운동의 배경과 역사, 특징을 살펴보자는 취지에서 기사는 ‘이단’ ‘사이비’와 같은 교계 내부에서 통용되는 지칭 대신, 학문적 개념인 ‘소종파’(sect)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검증된 논문 자료나 학계 전문가의 의견을 참조해 기사를 작성했습니다. _편집자주
한겨레21
주요 특징, 신비주의적 ‘신과의 합일’ 이들과 별개로 ‘새주파’로 불리는 또 다른 신비주의 집단도 있었다. 1923년 입신 체험을 통해 예수와 대화했다는 여신도 김성도가 구심이었다. 새주파란 이름은 김성도의 추종자들이 그를 ‘새주’로 부른 것에서 유래했는데, 김성도가 죽은 뒤 ‘복중교’란 이름으로 1940년대까지 연명했다. 원산파와 새주파 모두 기성 교회들에 의해 이단으로 단죄됐다. 하지만 이들의 신비주의는 ‘이스라엘 수도원’을 세운 김백문을 거쳐 한국 개신교계 소종파의 선구가 되는 통일교(문선명)와 전도관(박태선)의 교리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작지 않았다. 신과의 합일을 강조하는 신비주의적 신앙 행태는 지금까지도 한국 개신교계 소종파의 주요 특징이다. 2000년 문화관광부의 의뢰로 국제종교연구소가 발간한 보고서 ‘한국의 종교단체 실태조사연구’는 개신교 계통 소종파를 크게 △신비주의 △종말론 △외국계 신흥종파 3가지 계열로 분류하고 있다. 이 가운데 수적으로 가장 우세한 것은 신비주의 계열이다. 신비주의 계열은 다시 △베뢰아아카데미(귀신론) 분파 △신비주의 기도원 분파 △직통 계시파 △전도관 분파 △장막성전 분파 △통일교 분파로 나뉘는데, 최근 개신교계가 대대적 배척운동을 벌이고 있는 신천지예수교증거장막성전(신천지)은 장막성전 분파에 속한다. 장막성전은 1960년대 경기도 과천을 중심으로 형성됐다. 서울대공원이 들어선 막계동 일대가 이들의 ‘성지’다. 신천지 교회의 본부가 과천에 있는 것도 이와 관련이 깊다. 장막성전은 1966년 한국 소종파 운동 사상 가장 나이가 어린 유재열(당시 17살)이 세워 화제를 뿌렸다. 장막성전이란 이름은 신약성서의 요한계시록 15장 5절 “또 내가 이일 후에 보니 하늘에서 증거장막의 성전이 열리며”라는 구절에서 따왔다고 한다.
“(장막성전의 등장과 분열, 신천지의 등장 과정) 모든 것이 성경의 예언대로 실현됐다. 기독교복음선교회(JMS)나 안상홍증인회 같은 교회도 나가봤지만, 가장 성경의 계시에 부합하는 곳은 신천지라고 확신한다.” -신천지의 청년신도 임아무개
장막성전 기본 골격 그대로 ‘신천지’로 그가 떠난 뒤 장막성전은 신천지, 증거장막성전, 무지개증거장막 등 여러 갈래로 분리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유재열은 자신에게 만국을 다스릴 권세가 있으며 14만4천 명에게 구원의 징표를 주는 사명이 주어졌다고 했는데, 성서 해석과 교리의 기본 골격은 핵심 추종자이던 이만희(현 신천지 총회장)를 통해 지금의 신천지에 고스란히 전승된 것으로 알려진다. 지난 2월18일 만난 신천지의 청년신도 임아무개(31)씨는 장막성전의 등장과 분열, 신천지의 등장 과정을 “모든 것이 성경의 예언대로 실현된 것”이라며 “기독교복음선교회(JMS)나 안상홍증인회 같은 교회도 나가봤지만, 성경의 계시에 부합하는 유일한 곳은 신천지라고 확신한다”고 했다.
“교권화된 기성 교회에 대한 불만과 영적 체험에 대한 열망에서 싹튼 해방 전 신비주의 그룹이 전쟁의 참화 속에서 종말론적 계기와 만나고, 때맞춰 등장한 카리스마적 개인들이 이 흐름을 주도하며 지금까지 오게 된 것이다.” -이덕주 감리교신학대 교수
‘영체교환’ 교리에서 성상납·혼음 나타나 일부 소종파는 교주에 대한 성상납, 혼음 등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전문가들은 이 문제를 초기 신비주의 소종파에서 나타났던 ‘영체교환’(일명 ‘피가름’) 교리의 유산으로 보는데, 신령한 존재의 성혈(聖血)을 나눠가짐으로써 죄와 타락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주술적 믿음이다. 하지만 문제가 된 소종파들은 이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거나 일부 열성 신도들이 벌인 해프닝이라 부인하고 있어, 그 실체에 대해선 추측이 구구하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