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금 유용 등의 의혹이 불거진 경기 광주시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집이 최근 시설장 채용 공고를 내면서 ‘꼬리 자르기’를 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앞서 나눔의집 운영진과 이사진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위한 후원금을 할머니들의 생활지원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호텔식 요양원’을 짓겠다는 계획을 논의한 것이 드러난 바 있다.
27일 나눔의집 대표이사인 월주스님은 누리집을 통해 다음달 9일까지 새로운 시설장을 모집한다는 공고를 게시했다. 애초 시설장 지원 서류를 동국대 이사장실로 접수받겠다고 밝혔으나, 논란이 되자 서류접수 장소를 ‘나눔의집 법인 사무국’으로 변경했다. 현재 나눔의집 상임이사인 성우스님은 동국대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나눔의집 법인을 대리하는 양태정 변호사는 “다음달 초 이사회와 징계위원회를 열어 현 안신권 소장의 거취 및 징계 여부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2001년 이후 12년 동안 나눔의집에서 근무해 온 안신권 소장은 현재 사의를 밝힌 상태다.
하지만 법인의 이같은 조치가 이사진의 책임있는 조처 없이 운영진만 교체하는 ‘꼬리 자르기’란 비판이 제기된다. 내부 고발에 나섰던 김대월 나눔의집 역사관 학예실장은 “건전지를 교체하듯이 직원만 바꾸겠다는 것”이라며 “이사회 회의에서 할머니를 위한 후원금을 아껴쓰라고 하고, 이를 통해 요양원을 짓겠다고 논의한 이사진들도 책임있는 조처가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학예실장은 또 “(법인 쪽에서) 내부 고발 이후 ‘이사진 전면 교체’를 제외하고 원하는 바를 모두 들어주겠다는 회유를 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내부 고발 직원을 대리하고 있는 류광옥 변호사는 “지난해 3월부터 직원들이 수도 없이 문제를 제기해왔는데 이사진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묵과해왔다. 최근 언론 보도가 나오니까 시설장 교체 선에서 끝내겠다는 것”이라며 “이런 운영진을 임명하고 지휘·감독 권한을 행사한 이사진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국가인권위원회는 27일 나눔의 집을 방문해 할머니 인권침해 여부를 조사 중이다. 이는 지난 3월 ‘나눔의 집 할머니들의 인권이 침해됐다’는 내용의 민원에 따른 것이다.
박다해 기자
doal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