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광주시 퇴촌면 원당리 나눔의 집 전경.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거주하는 ‘나눔의집’ 후원금 유용과 인권침해 의혹을 고발한 내부 직원들이 “나눔의집을 할머니와 국민 품으로 되돌려 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을 9일 올렸다. 이들은 그동안 후원금을 법인계좌로 받으며 방만하게 운영해 온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집’ 이사진들의 책임을 함께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청원을 올린 김대월 나눔의집 역사관 학예실장은 이날 <한겨레>에 “나눔의집 운영 문제는 정의기억연대와 분리해서 봐야 하는데 이를 혼동하는 분들이 많다. 오랫동안 (법인 이사로 있던) 조계종 스님들이 나눔의집을 어떻게 잘못 관리해왔는지 차분하게 알리고 싶었다”며 “현재 관련 수사도 지지부진하고 이사진은 제대로 책임을 지지 않은 채 시설장의 사표를 수리하는 등 꼬리 자르기로만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나눔의집 내부고발 직원이 직접 올린 청와대 국민청원. 9일 오후 2시 기준 500명이 동의한 상태다. 청와대 국민청원 누리집 갈무리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직원들은 청원에서 “나눔의집 문제는 지금도 진행 중”이라며 “관련 부처에 민원을 넣고 언론 제보를 시작하자 법인 이사진은 조계종 산하 사회복지재단에서 일하던 운영진 2명을 급하게 채용하고, 이들은 오자마자 비위사실의 증거가 많은 전 사무국장의 물건을 정리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후원금 모집 및 사용행위의 위법성에 대한 철저한 수사 △후원금 유용 재발 방지 △관리감독 기관인 경기도와 광주시의 책임 강화 △법인 이사진들에 대한 책임있는 조처 등을 요구했다.
직원들은 “법인 이사진들은 모든 책임을 시설 운영진에게 떠넘겼지만 모든 사태의 책임은 이사진에게 있다”며 “이들이 반성도 없이 이 사태가 조용해지기만을 기다려 다시 후원금의 주인행세를 하는 일이 없도록 해달라”고 강조했다. 또 “나눔의집은 단순한 요양시설이 아닌 만큼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전쟁 후 전쟁피해자의 삶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역사의 장으로 발전, 계승돼야 한다”며 “무엇보다 현재 생활하시는 할머니에 대한 아낌없는 지원이 가장 우선시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법인 이사진은 지난 2일 이사회를 열고 나눔의집 시설 운영을 담당하던 안신권 전 소장과 김정숙 전 사무국장의 사표를 수리했다.
박다해 기자
doal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