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서울 중구 명동의 한 편의점.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동네 편의점이 아동학대 신고 거점이 된다. 부모의 학대를 피해 편의점으로 달려간 아동의 사례가 잇따르자, 경찰과 편의점 업계가 손잡고 아동학대 신고 체계 구축에 나선 것이다.
경찰청은 23일 아동학대 발견율을 높이기 위해 경찰청과 편의점 업계가 이달 중순부터 공동으로 ‘도담도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도담도담은 어린아이가 탈 없이 잘 자라는 모양을 나타낸 우리말이다. 편의점은 대부분 24시간 영업을 하고 시가지·골목에 있어 접근성도 좋으며 폐회로텔레비전(CCTV)등 방범체계를 갖췄기 때문에 아동학대를 발견하고 피해 아동을 보호하기에 좋은 조건이다.
경찰청이 만든 편의점 내·외부 아동학대 예방 포스터. 경찰청 제공
편의점 업계는 편의점 근무자를 아동학대 신고요원으로 지정하고, 피해 아동들에게 심리치료를 지원하는 등의 방식으로 경찰에 협력할 계획이다. 씨유(CU)는 학대 피해 의심 아동이 관찰되면 즉시 신고할 수 있도록 ‘원터치 신고시스템’에 아동학대 신고 항목을 추가했다. 신고 뒤 본사 담당자가 근무자에게 경찰 인계 여부도 확인한다.
지에스(GS)25는 편의점을 방문해 구조요청을 한 학대 피해 아동의 상처를 치료하고 후유증을 회복할 수 있도록 심리치료 프로그램 비용을 지원한다. 햄버거, 유제품 등 지에스25 자체 상품에는 아동학대 예방 홍보문구를 넣는다. 세븐일레븐도 자체 상품에 아동학대 예방 문구를 적어 판매하기로 했다. 이마트24는 계산대 화면 상단에 있는 디지털 광고에 경찰청 제작 아동학대 예방 영상을 재생한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교통카드 충전, 간식 구매 등 아동과 학생의 편의점 이용이 많은 만큼, 아동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아동학대 발견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고 말했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