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오른쪽)과 최대집 대한의사협회장이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집단휴진을 중단하고 의대정원 확대 등의 의료정책을 협의하는 의정협의체를 구성하는 내용의 합의문에 서명하기 위해 회의실로 들어서고 있다. 백소아 기자, 공동취재사진 thanks@hani.co.kr
의사 국가고시 실기시험의 접수 기간이 지난 6일까지로 연장됐지만 전체 응시 대상자의 14%만 시험에 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접수 기간을 재연장 하지 않고 예정대로 시험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7일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 의사 국시에 응시한 인원은 총 응시대상 3172명 중 446명으로 14%의 인원이 응시 예정이다. 시험은 당초 공지한 일정대로 오는 8일부터 진행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접수 기간을 추가로 연장하진 않는다는 방침이다. 손 대변인은 “재신청 기간은 어제 밤 12시부로 종료됐으며 재연장이나 추가 접수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이는 법과 원칙의 문제이며 다른 의사 국시 이외의 국가시험을 치르는 수많은 직업과 자격에 있어서도 형평성 문제에 위배된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의사국시 응시율이 낮아 향후 공중보건의사나 군의관 등 의사 인력 수급에 어려움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정부는 큰 차질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손 반장은 “필수 배치분야를 중심으로 조정을 하면 큰 차질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의대 졸업자들이 바로 병역을 신청하는 게 아닌 1년의 인턴과정 후 신청하거나 4년의 전공의 수련과정 후 신청하는 경우가 다수”라고 설명했다. 이어 “의대 졸업생이 1년 늦춰진다고 병역자원들이 일시적으로 차질이 생기진 않는다”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31일 예정된 시험 일자를 1주일 연기한 데 이어, 집단행동 참여로 응시 기회를 잃은 첫 2주간(1~18일) 응시자들에 한해 시험 시작일을 11월 후로 미뤄줬다. 또 지난 4일 오후 6시까지로 예정됐던 시험 접수 기한을 지난 6일 밤 12시까지로 연장했다. 정부는 “의대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라고 시험 접수 기한을 연장한 이유를 밝힌 바 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