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 한 중학교 운동장 가장자리에 있는 은행나무. 두목치기로 인해 잎은 물론 줄기까지 모두 잘려나간 채 둥치만 남아 있다. 올 초 부산대 김동필 조경학과 교수가 찍었다. 김동필 교수 제공
“가지 칠 때 보면 교장 선생님들이 음주 단속하는 경찰관 같아요. 밑에서 ‘더더더…’라고 하시거든요. ‘더 자르면 보기도 안 좋다’ 해도 ‘한 번 더 자르라’고 합니다. 다시 올라가면 밑에서 ‘더더더’ 하십니다. 나무가 반 토막이 나야 ‘아이고 시원하다’ 합니다. 어딜 가나 매번 그래요”(곰솔조경 박정기 대표)
식목일을 하루 앞둔 4일, 학교 나무들이 매년 봄 무분별한 가지치기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나무나 조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학교 관리자들이 수십 년 된 나무를 두목치기(절두목·나무 기둥 윗부분을 모두 베어버리기)하거나 아예 베어버리는 일도 흔하다고 한다. 나무 관리 지침 자체가 없을뿐더러, 학교·교육청에 전문지식을 갖춘 조경직 또한 아예 없어 공공나무 가운데 가장 열악한 처지에 놓여있다는 지적이다. 일부 학교들은 농약(소독약)은 물론 제초제까지 무분별하게 뿌리고 있어 학생들 건강에 대한 우려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60살 된 향나무 벤 일이 자랑이라는 교장선생님
2017년부터 지금까지 광주·전남 지역에서 학교(명상)숲 선정 위원으로 활동해 온 김세진 전 ‘(사)광주생명의숲’ 사무처장은 “교장·행정실장 등 학교관리자들이 나무에 대한 인식이 아주 잘못돼 있다. 나무를 귀찮은 존재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선생님들 주차장을 만든다’, ‘낙엽이 많이 떨어진다, ‘학교 건물을 가린다’ 심지어 ‘나무가 너무 크다’는 이유로 마구 베거나 서슴지 않고 두목치기를 한다는 것이다.
전남 여수의 한 초등학교 교장은 학교 숲 선정을 위해 방문한 김 전 처장에게 일제의 잔재라며 60년 여년전에 기념식수로 심었던 큰 향나무를 베어낸 일을 업적으로 소개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 향나무의 원산지가 일본인 건 맞지만 60살 나무를 다시 보려면 60년이 걸린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당시 이 향나무는 아주 고가였어요. 뭔가를 기념할 때 귀하게 심었습니다. 또 학교 졸업생들에게는 추억이 깃든 나무일 수 있습니다. 시골에서 학교는 마을 주민의 구심점입니다. 나무 하나하나에 문화가 서려 있을 텐데, 그게 자랑할 일은 아니잖아요. 산림청에서 학교숲을 조성한 지 20년이 됐는데, 초기에 선정된 학교들에 가보면 오래된 나무가 남아 있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이런 학교들에 계속 학교숲을 지원해야 하나 싶더라고요. 전문성도 없이 평균 2년마다 바뀌는 교장 선생님들이 나무를 벨지 말지를 쉽게 결정한다는 건 문제 있지 않습니까. 오히려 사립학교는 교장 선생님이 잘 안 바뀌니 형편이 낫습니다”(김세진 전 광주생명의숲 사무처장)
지난 1999년 시작된 학교숲 조성 사업으로 지난 2019년까지 1770개 학교에 학교숲이 조성됐다. 대상으로 선정되면 중앙·지방정부에서 6천만원을 지원받는다.
경기 부천시 부천약대초등학교의 나무들. 이 사진 제보자는 “운동장 가에 자라는 은행나무를 전기톱으로 아예 몸통만 남기고 잘라버렸습니다. 너무 기가 막혀서 학교에 전화해서 아이들을 교육하는 학교가 이렇게 반생명적으로 나무를 자를 수 있냐고 (항의)했더니 이렇게 해야 나무가 이쁘게 자란답니다”라고 말했다. ‘가로수를 아끼는 사람들’ 제공
“5∼10개 학교당 조경팀 1개 두면 나무 훼손 막을 수 있어”
문제는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나무 관리와 관련된 제대로 된 규정이 없다는 것이다. ‘
가로수 조성 및 관리규정’(산림청 고시)이 있지만 ‘쇠약한 가지를 자른다’는 등 원론적인 내용만 담고 있다. 2010년 ‘가로수 수형관리 매뉴얼’(산림청 발행)도 다양한 가지치기 방식을 소개하는 수준에 그친다. 경남도 등 시·도 10곳은 ‘학교 숲 조성·관리 조례’를 제정해 나무를 벨 때 운영위 심의를 받도록 하고 있지만, 가지치기·소독작업 등 다른 모든 나무 관리 업무는 여전히 학교장이 재량껏 할 수 있다. 더욱이 나무의 수종에 따른 생리적 특성이나 학교 공간에 맞는 수형 관리를 할 수 있는 조경전문직도 학교는 물론, 상급기관인 교육청에도 없다. 김동필 부산대 조경학과 교수는 “학교장이 나무를 함부로 자르지 못하게 하고, 5∼10개 학교당 한 개 조경팀만 둬도 이런 처참한 나무 훼손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에 100년이 넘은 학교가 수십곳에 이르지만 보호수로 지정되지 않는 한 100년이 넘는 나무가 남아 있는 학교는 드뭅니다. 학교장의 취향에 따라 자르고 벤 뒤 (교장이) 동창회에다가 자기가 좋아하는 나무 심어달라고 하는 일이 반복됩니다. 진짜 심각합니다. 어디를 가도 몽둥이처럼 잘라버려요. 전국 2만여개 학교의 운동장 면적만 지난해 기준으로 여의도공원 400여개 규모라고 합니다. 공간 활용 가치도 높고 교육적 필요성도 큽니다. 학교숲은 인성교육, 자연환경교육을 위한 기반이고 지역 커뮤니티를 위한 훌륭한 국가자원으로 인식돼야 합니다”(김동필 교수)
“학교 선생님들도 ‘전봇대’ 나무 만들기는 없어져야’ ”
학교 나무 관리의 문제점을 인식, 학교 선생님들도 뜻을 모으고 있다고 한다. ‘환경과 생명을 지키는 전국 교사모임’은 다음 달 4일 온라인으로 ‘가로수를 아끼는 사람들’ 최진우 대표와 함께 이 문제를 의논할 것이라고 한다.
정대수 경남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교육연구사는 “‘전봇대 문화’(학교 나무를 전봇대처럼 자르는 일)는 없어져야 하지 않겠느냐. 어찌 보면 우리 사회의 생태에 관한 인식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게 나무”라고 강조했다. 그는 “선생님들을 포함해 학교에 계신 많은 분이 이 문제에 분노하고 있다. 문제 제기를 넘어 해결책을 고민하고 있다”며 “산림청·조경학회가 전문적인 수목관리에 대한 매뉴얼을 만들고, 이를 위해 산림 관련 법도 개정이 필요하다. 또 교장 선생님 입장에서 보면 각종 민원에 심지어 은행나무 열매 때문에 불편하다고 협박까지 들어온다. 엄청난 압박이다. 이런 악성 민원에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까지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송파구 영파여자고교의 나무들. 이 사진 제보자는 “펼침막이나 간판 등 방해되는 것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나무를 젓가락으로 만들어 놓았어요. 그것도 학교에서”라고 적었다. ‘가로수를 아끼는 사람들’ 제공
나무에 소독약, 운동장엔 제초제 “학생들 건강 위협”
비전문가에게 맡긴 학교 나무 관리는 학생들 건강을 위협한다는 지적도 있다. 업체나 교육계 관계자들 얘기를 들어보면 쉬는 날 조경업체 등을 불러 소독약(농약)을 뿌리거나 심지어 운동장 잡초를 제거하려고 제초제까지 뿌리는 일도 적지 않다고 한다.
“요즘은 여러 문제가 있어 고독성 농약은 잘 안 치지만 저독성 농약도 독성이 고독성의 30%는 됩니다. 저독성도 세 번 치면 고독성과 같습니다. 기후변화 때문에 날이 더워져 해충이 많아지니, 학교에서 농약 치는 횟수는 오히려 전보다 늘었어요. 여기에 운동장 구석에 풀이 있다고 제초제까지 뿌립니다. 애들이 운동장에서 뛰어놀면서 손으로 짚고 손도 씻고 할 거 아닙니까. 이런 걸 설명을 해도 일부 학교관리자들은 깔끔한 것만 생각하라고요. 학부모들에게는 제대로 알리는지 모르겠네요”(박정기 대표)
김양진 기자
ky0295@hani.co.kr
▶관련기사 :
‘벌목 수준’ 가지 없는 가로수, 왜 이렇게 많나 했더니…
▶관련기사 :
[뉴스AS] ‘무자비한 가지치기’ 왜 반복되나 했더니…
▶관련기사 :
속수무책 ‘두목치기’ 당하는 아파트 나무들…“공적관리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