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호승 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 위원장이 13일 서울 중구 사참위에서 열린 4·16 세월호 참사 조사 현황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가 데이터 조작 논란이 있는 세월호 선박자동식별장치(AIS) 데이터에 대한 조사를 국립전파연구원에 의뢰했다.
사참위는 13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 사참위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세월호 선박자동식별장치 데이터 내부 정합성을 조사하며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을 발견했다”며 “선박자동식별장치가 참사 당일 오전 4시부터 9시까지 약 5시간 동안 여러 번 제때 위치를 알려주지 않았다는 분석 결과를 국립전파연구원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사참위는 연구원이 세월호 선박자동식별장치와 동일 기종으로 시험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선박에 장착되는 선박자동식별장치는 위치·속력·방향 등 운항 정보를 다른 선박이나 해상교통관제센터(VTS)에 보내는 항해장비다. 사참위는 참사 당일 세월호 항적이 2개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참위는 “참사 당일 해양수산부(해수부)가 오후 4시 이전 해수부 상황실에서 표출된 세월호 선박자동식별장치 항적과 전혀 다른 항적을 세월호 항적으로 발표했다”고 지적했다.
사참위가 입수한 해수부의 청와대 보고 문건을 보면, 사참위의 의혹 제기에 대해 해수부는 지난 1월 해수부 상황실 화면에 표시된 항적은 같은 해역에서 항행 중이던 둘라에이스호 항적으로 세월호 항적이 2개 존재하는 게 아니라고 청와대에 설명했다.
이에 대해 사참위는 “해수부가 당일 오후 4시 이전 발표한 사고 지점과 실제 사고 지점은 6㎞가량 차이가 난다. 세월호 항적과 다른 항적을 세월호 항적이라고 주장한 것은 참사 당일 오후 4시 이전까지 해수부의 공개적인 입장이었다”며 “주무부처인 해수부가 사실과 다른 해명을 한 상황을 매우 엄중한 사안으로 판단해 정밀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사참위는 지난 1월15일부터 국가정보원이 공개한 세월호 관련 자료 목록 약 64만건 가운데 약 33만건을 열람 완료했으며, 원문 열람을 위해 국정원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사참위가 확보한 자료 목록은 국정원이 생산한 보고서 5만1544건, 이메일 6만5078건, 첩보 수집자료 27만5464건, 출력자료 25만2623건 등 모두 64만4709건이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