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장관 후보자들이 선서하고 있다. 왼쪽부터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박준영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지난 4일 인사청문회가 실시된 5개 부처 장관 후보자 중 일부 후보자에 대한 임명 재고를 촉구했다.
경실련은 6일 성명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은 인사검증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청문회에서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도덕성과 자질에 흠결이 드러난 장관 후보자에 대해 임명을 재고해야 한다”며 노형욱 국토부 장관 후보자,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박준영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를 ‘문제 인사’로 지목했다.
경실련은 노 후보자가 2011년 공무원 특별공급제도를 통해 세종시 아파트를 약 2억7000만원에 분양받은 뒤 실거주하지 않고 5억원에 팔아 시세차익을 남겼다고 지적했다. 또한 취득세 약 1100만원과 지방세 약 100만원을 면제받고 2년간 매달 20만원씩 세종시 이주 지원비를 받은 것을 언급하며 “부동산 투기에 가담한 장관에게 투기를 막고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한 정책을 기대하는 국민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 후보자에 대해서는 두 차례 다운계약서를 작성하고 제자 논문에 남편과 공동 저자로 등재된 것, 국비 지원을 받은 공무상 해외 출장에 가족을 동반한 사실 등을 두루 지적했다. 아울러 “민주당원 신분으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공모에 지원한 것과 두 차례의 위장전입, 자녀 이중국적 문제 등에 대해 관행이거나 몰랐다는 태도를 보인 것은 국정을 담당해야 할 부처 수장으로서의 낮은 윤리의식 수준을 보여준다”며 “단순히 후보자의 사과로 넘어갈 수준을 넘어섰다”고 비판했다.
또한 박 후보자 아내의 도자기 밀반입 의혹을 거론하며 “남편의 공직을 이용한 배우자의 사익추구 행위는 공직자 이해 충돌에 해당하며 이러한 행위를 통제하지 못한 자를 장관으로 임명한다면 문재인 정부 내각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더욱 추락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우연 기자 aza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