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스릴 지수, G-포스를 아십니까

등록 2007-08-15 20:18수정 2007-08-17 15:41

일반적으로 놀이기구는 4G를 넘지 않도록 설계된다. 3.8G가 나오는 롯데월드 아트란티스.
일반적으로 놀이기구는 4G를 넘지 않도록 설계된다. 3.8G가 나오는 롯데월드 아트란티스.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롤러코스터는 앞칸이 더 무서운 것 같지만 G-포스는 뒤칸이 더 나와

놀이기구의 공포와 스릴을 재는 척도가 있을까? 가장 대표적인 게 지(G)-포스다. 중력가속도를 일컫는 말로 자연상태에서 1G(9.8m/s)다. 위에서 물건을 떨어뜨릴 때 1초에 초속 9.8m씩 빨라지는 상태라는 뜻. 일반적으로 지-포스가 높을수록 긴장과 공포는 커진다.

롤러코스터의 지-포스는 1G보다 높다. 자연 상태의 중력가속도(1G)에다 루프를 오르내리면서 생성되는 원운동의 가속도가 덧붙여지기 때문. 한국유원시설협회는 롤러코스터 시운전 때, 100분의 1초 단위로 지-포스를 측정한다. 김정우 유원시설협회 과장은 “한국에는 관련 법률·규정이 없어서 유럽 놀이기구 설비기준을 참고한다”며 “일반적으로 4.5G~6G 사이에서 6초 이상, 0G 이하로 1초 이상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고 말했다.

F16 전투기의 파일럿이 느끼는 지-포스가 6G 정도. 롯데월드의 프렌치 레볼루션, 서울랜드의 은하철도888, 에버랜드의 독수리요새 등은 2G에서 2.5G를 넘나들며 달리다가 최고 3.5G 안팎을 기록한다. 바이킹 등 진자운동형은 2G 정도다.

자이로드롭 등 드롭형 놀이기구의 지-포스는 낮아서 더 무섭다. 김 부장은 “자이로드롭에서 계측기가 0G 이하를 가리킬 때가 있다”고 말했다. 몸이 잠깐 붕 뜨는 순간이다. 평상시 1G에 익숙한 사람이 ‘이상 중력’을 느끼면서 공포는 배가된다.

그렇다면 롤러코스터 앞칸과 뒤칸 중 어느 곳이 더 무서울까? 앞칸에 탔을 때, 코스터는 덜컹덜컹 최고점에 기어올라 잠깐 멈춘 듯하다가 이내 떨어진다. 반면 뒤칸에 앉은 사람은 정지감을 느낄 겨를 없이 앞칸에 이끌려 바로 떨어진다. 뒤칸이 앞칸보다 가속도가 많이 붙기 때문에 지-포스도 높게 나온다. 물론 심리적으론 앞칸이 더 무서울 것이다.

글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