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터프하다, 제주 국수 맛

등록 2015-01-07 20:43수정 2015-01-09 11:04

제주 서귀포시 ‘국수와의 미팅’의 고기국수.  박미향 기자
제주 서귀포시 ‘국수와의 미팅’의 고기국수. 박미향 기자
[매거진 esc] 국수주의자 박찬일
제주에 와서 고기국수 한 그릇을 먹으려 했더니, 대기 줄이 국숫발만큼 길다. 알음알이로 현지인 따라가서 먹던 시절이 아니다. 비행기 타고 내려와서 바로 고기국숫집으로 간다고들 한다.

제주에서 해물 요리는 본디 사 먹는 음식이 드물었다. 고등어조림이니 하는 것들도 기실 육지의 관습을 따른 음식이다. 그래서 제주에선 고기 들어간 음식이 전통적이다. 시장에 가서 순댓국 먹어봐야 제주의 맛을 이해할 수 있다. 지금도 ‘큰일’(경조사)에는 돼지 잡는 일이 핵심이다. 농한기에는 ‘돗추렴’이라고 하여 돼지를 잡아 나누는 관습도 일부 남아 있을 정도다. 돼지고기를 유달리 좋아하는 제주 사람들은 국수조차도 돼지육수를 쓴다.

머리와 어깨살을 푹 고아 국물을 내고 면을 말아낸다. 갈비라고 쓰면 당연히 돼지갈비요, 고기라면 돼지고기인 줄 알아야 하는 지역답다. 돼지는 국물의 밀도가 두껍게 나온다. 속을 알 수 없는 깊은 국물에 하얀 면발이 깊이 잠겨 있다. 국수를 젓가락으로 집고, 고깃점을 함께 밀어 넣으면 목으로 울려오는 국수 먹는 ‘통증’이 짜릿하다. 흔히 제주 국수를 ‘터프’하다고 하는데, 바로 그 맛이다.

특히 이 지역은 소면보다는 중면이다. 투박한 제주의 맛에 더 어울린다. 마트에 가서 국수를 골라보면, 1949년에 설립했다는 ‘연동국수’가 전통적인 방식대로 종이에 말려서 진열되어 있다. 밀가루야 다 수입이고, 소금 넣고 반죽해서 밀어내는 게 마른국수일 텐데 다 맛이 다르다.

예전에는 동네 국수가게가 있어서 성업했다. 무게를 달아 파는데, 근이나 관으로 썼다. 두 근, 반 관…. 믿지 못하시겠지만 반관의 국수를 사면 필자의 온 가족이 한 끼에 다 먹었다. 2㎏ 가까운 국수를 여섯 식구가 다 먹어치워 버린 것이다. 그래서 지금도 밥은 공깃밥이지만, 국수는 수북하게 담아 먹어야 양이 찬다.

연동국수 하나를 사 들고 길을 나선다. 이번에는 밀면이다. 밀면은 이름부터 특이하다. 메밀 대신 밀가루를 쓴다고 하여 부산지역에서 이름 붙었다. 본디 제주의 것은 아니지만, 산방산 아래 한 밀면집이 크게 성공했다. 한적한 마을이 외지 사람들로 번잡해졌다. 몇 해 만에 들러 보니, 곁들이로 주던 편육도 이제는 사라졌다. 막 삶아 썰어주던 편육도 시켜 먹어야 한다. 그러려니 하지만 아쉬운 일이다. 소주를 시키면 무심하듯 작은 접시에 담아 툭 내주던 공짜 편육 맛이 좋았는데 말이다. 대기표를 받아서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다.

국수는 누구나 좋아하고, 값도 싸서 만만한 음식인 까닭이다. 특이하게도 이 밀면집도 국수 굵기는 당연히 중면이다. 그래서 부산에서 먹는 밀면과 제법은 유사한데도 먹는 맛이 다르다. 제주다운 투박함이 더 살아 있다. 꿋꿋하게 젓가락으로 말아서 후루룩, 입에 넣었다. 꽉 찬다. 통쾌하고, 그득하다. 고기국수 먹듯이 서너 점 얹어 나오는 편육 조각을 함께 먹어야 더 맛있다. 지역의 소주 한 잔을 붓는다.

본디 조선 사람들은 술자리가 시작되면 먼저 국수를 안주로 술을 먹었다는 기록이 많다. 선주후면(先酒後麵)이라는 냉면집의 ‘법도’도 일제강점기 일본식 메밀국숫집의 유행을 따라 생겨났을 가능성이 높다. 하여튼 국수 안주에 술은 각별한 맛이다. 옛 선조들의 주도를 따라가 본다.

박찬일 요리사·음식칼럼니스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