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혜미. 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매거진 esc] 이우성의 좋아서 하는 인터뷰
직장생활 하며 1년에 2~3번 전시회 여는 젊은 도예가 이혜미씨…“빚는 것도 선 긋기도 우연”
직장생활 하며 1년에 2~3번 전시회 여는 젊은 도예가 이혜미씨…“빚는 것도 선 긋기도 우연”
실생활에 쓰이는 작품 만들고파
실제 사용할 수 있어야
두고 볼 때 더 아름다운 것
“도자기 의자·탁자도 해볼래요” 내가 특히 마음에 들었던 건 잔 받침? 작은 접시? 아마 둘 중 하나일 거라고 생각되는 제품이었다. 둥근 테두리에서 대략 0.5㎜ 정도 안쪽에 금색으로 선을 그었다. 그게 마치 동그란 우주를 그릇 안에 넣어둔 것같이 보였다. 그녀는 말했다. “저는 금색을 좋아해요.” 그녀는 붓으로 직접 금색 선을 긋는다고 했다. “삐뚤삐뚤하죠. 옆으로 흘러내릴 때도 있어요. 저는 그 느낌 그대로 좋다고 생각해요. 똑같은 걸 다시 만들 수가 없어요. 하나뿐이죠. 손으로 빚는 것도 선을 긋는 것도 모두 우연적인 거니까.” 내가 느낀 숨결이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알 것 같았다. 시간이 축적된다는 말도 이해할 것 같았다. “금색은 가마를 세 번 때야 완성할 수 있어요. 보통 초벌, 재벌 이렇게 구워요. 금색을 입히려면 한 번 더 구워야 해요. 재벌할 때 1250도까지 열이 올라가는데, 금색 안료는 780도에서 녹거든요. 온도가 더 올라가면 완전히 사라져버려요.” 시라고 생각했다. 시적인 게 아니라 시. 은유 이면의 세계를 가진 것, 그 세계의 형체가 어렴풋이 낯설 때, 그것은 마땅히 시다. 특히 그녀가 만든 또 다른 잔 받침? 작은 접시? 중엔 하늘을 옮겨 둔 것이 있다. 파란색 안료로 칠했다. 나는 하늘의 형태를 본 적이 없지만, 하늘이 모양을 가지고 있다면 아마 그녀가 그린 형태와 비슷할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시였다. 그녀는 주로 접시, 그릇, 컵 등을 만든다. ‘세라믹 벨’(도자 종)도 만들었다. 대학에서 도예를 전공했고, 졸업 후에 도예가 그룹 바다디자인아틀리에에 들어갔다. 이 그룹은 실용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작품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현재 그녀는 한 도자기 회사의 디자인실에서 일하고 있다. 그리고 시간을 내서 자신의 작품을 만든다. 그 모든 작품엔 그녀의 손가락이 쌓은 시간이 담겨 있다. 그걸 보고 만지는 건 무척 흥미로운 경험이다. “세라믹(도자)은 한 번 성형을 해 놓으면 고칠 수가 없어요. 물감을 덧칠해서 색을 지우거나, 조립해 놓은 걸 해체해서 다시 만들 수 있는 게 아니잖아요. 본드로 붙였다가 뗄 수도 없고요.” 그녀는 웃으며, 왼손으로 머리카락을 쓸어올리며, 길게 숨을 내쉬며 말했다. 우아한 분위기였다. “대량 생산하는 도자기 제품을 만드는 회사에서 일하는 게, 제가 작품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저는 작품 역시 실용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사용할 수 있어야, 두고 볼 때도 더 아름다운 거라서 그렇게 생각하는 거예요.” 그녀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접속해 사진을 보여주었다. “세라믹 샷 잔이에요. 이름은 좀 별로지만. 위스키 한 잔, 샴페인 한 잔, 소주 한 잔 정도의 양을 감안하고 만든 거예요. 사용하면서 아름다움을 즐겨야 의미가 있다고 믿어서 만든 거예요. 생활 속의 작은 아름다움 말이에요.” 그녀는 도자기의 아름다움이 박물관 유리벽 너머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이가 중요한 건 아니지만 그녀는 1985년생이다. 젊은 도예가다. 그녀는 ‘도예가’라는 단어가 왜 고전적으로 느껴지는지 고민하게 만든다.
“오브제의 특성을 지닌 그릇, 이것이 제가 원하는 거예요.” 오브제라는 말이 어렵다면, 작품이라고 바꿔 적어도 될 것 같다. “그릇이든, 잔 받침이든, 접시든 이런 것들이 지닌 원래의 목적을 버리고, 완전히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 아까 말한 세라믹 샷 잔에 꽃을 담아둘 수도 있어요.” 그녀는 다시 자신의 인스타그램에서 사진을 보여주었다. 잔에 꽃을 담아둔 사진이었다. 나는 그 잔 역시 꽃 같았다고, 본 그대로 적고 싶지만, 보지 않은 사람들이 왠지 호들갑 떠는 것처럼 느낄까봐, 두 번 정도 망설이고 적었다. 그녀의 인스타그램 계정은 ‘#heami_’다. 보여주고 싶다. 이혜미의 작품은 (신사동 가로수길 챕터원, 이화여대 박물관 아트숍 등) 몇몇 편집 매장에서 구입할 수 있다. 그녀는 한 해 2~3번 전시를 연다. 10월엔 논현동에 있는 윤현상재 갤러리에서 그룹전을 열 예정이다. “그리고 훗날 기회가 된다면 테이블과 의자 같은 가구를 만들어보고 싶어요. 물론 세라믹 제품으로요.” 그건 실용의 영역은 아닐 것이다. 또한 그것은 세라믹의 영역 자체도 아니다. 예술적 본능, 의지, 이런 것이겠지. 나는 그 욕망이 아름답게 느껴졌다. “그런데 창밖에 저기, 강아지 앉아 있는 거 아세요? 소리도 내지 않고, 한 시간 동안 저기 앉아 있었어요. 움직이지도 않고.” 밖을 내려다보니 정말 그랬다. 자고 있었을까? 아픈가? 눈은 건강해 보였다. 털 위로 햇살이 미끄러졌다. 생명을 지닌, 움직임을 내재한, 도자기 작품 같았다. 이우성 시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