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청춘은 껌처럼 씹고 버렸다

등록 2016-09-08 09:48수정 2016-09-08 09:53

[Let's ESC]
껌 종이를 모은 적이 있습니다. 달콤한 향기가 밴 껌 포장지엔 신석정의 <임께서 부르시면> 같은 목가적인 서정시가 인쇄돼 있었죠. 시를 공책에 베껴 쓰고, 시인의 이름을 외우며 우쭐해하곤 했습니다. 같은 시가 적힌 포장지는 곱게 접어 학으로 변신시킨 뒤 책상 앞 책꽂이 위에 진열했고요. ‘팬시점’에서 ‘소녀소녀한’ 그림 위에 윤동주의 <서시>가 적힌 액자를 사다 벽에 걸어두기도 했습니다. 그러고 보니 그땐 벽시계에도, 편지지에도 시가 적혀 있었다는 게 기억나는군요.

시가 공기처럼 흐르던 시절을 기억하는 분들과 함께 이 시를 나누고 싶습니다. 시의 제목처럼 ‘삼십대’든 아니든, 상관없겠습니다.

조혜정 팀장 zesty@hani.co.kr

삼십대/심보선

나 다 자랐다, 삼십대, 청춘은 껌처럼 씹고 버렸다, 가끔 눈물이 흘렀으나 그것을 기적이라 믿지 않았다, 다만 깜짝 놀라 친구들에게 전화질이나 해댈 뿐, 뭐 하고 사니, 산책은 나의 종교, 하품은 나의 기도문, 귀의할 곳이 있다는 것은 참 좋은 일이지, 공원에 나가 사진도 찍고 김밥도 먹었다, 평화로웠으나, 삼십대, 평화가 그리 믿을 만한 것이겠나, 비행운에 할퀴운 하늘이 순식간에 아무는 것을 잔디밭에 누워 바라보았다, 내 속 어딘가에 고여 있는 하얀 피, 꿈속에 니가 나타났다, 다음 날 꿈에도, 같은 자리에 니가 서 있었다, 가까이 가보니 너랑 닮은 새였다(제발 날아가지 마), 삼십대, 다 자랐는데 왜 사나, 사랑은 여전히 오는가, 여전히 아픈가, 여전히 신열에 몸 들뜨나, 산책에서 돌아오면 이 텅 빈 방, 누군가 잠시 들러 침만 뱉고 떠나도, 한 계절 따뜻하리, 음악을 고르고, 차를 끓이고, 책장을 넘기고, 화분에 물을 주고, 이것을 아늑한 휴일이라 부른다면, 뭐, 그렇다 치자, 창밖, 가을비 내린다, 나 흐르는 빗물 오래오래 바라보며, 사는 둥, 마는 둥, 살아간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