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철길이라니, 낭만적이야

등록 2017-03-09 09:32수정 2017-03-09 09:46

[Let's ESC]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철길은 참 낭만적인 소재입니다. 영화나 드라마에서도, 문학작품 속에서도, 사진 속에서도요. 출세욕에 사로잡혀 제 발목을 잡은 검사의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 <펀치>에서, 남자주인공 박정환(김래원)의 집이 철길 옆에 있었죠. 가난하지만 다정하고 의로운 본모습으로 돌아가는 거의 유일한 공간, 그럼에도 6개월 시한부 선고를 받은 사람이 느끼는 무상함과 쓸쓸함을 표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철길은 참 맞춤한 곳이었습니다. 제가 김은숙 작가 최고의 작품으로 꼽는 <온에어>에서, 신경질적으로 보이지만 속 여린 드라마 작가 서영은(송윤아)이 홀로 걷는 밤, 티격태격하던 드라마 피디 이경민(박용하)이 뒤에서 손전등을 비춰주며 길을 밝혀주던 곳도 철길이었습니다. 흐드러진 벚꽃 아래 따뜻한 조명, 서로의 설레는 마음을 알게 된 곳이었죠.

제가 어릴 때 살던 동네에도 철길이 있었습니다. 고무공장이라고 부르던, 신발공장 근처였습니다. 그 회사에서 운영하던 신발 도매점에 가거나, 그 동네에 사는 친구 집에 놀러 가려면 철길을 건너야 했습니다. 땡땡땡. 그 도시를 떠나거나 돌아오는 사람을 실은 기차가 철길을 지날 땐 차단기가 내려오며 ‘건너지 마시오’란 의미의 종소리가 울려 퍼졌습니다. 저 기차는 어디로 가는 걸까, 나도 기차를 타볼 수 있을까, 철길을 따라가면 서울에 닿는 걸까, 그런 상상을 했던 것 같습니다. ‘세상’의 범위가 살고 있는 그 동네에 불과한 꼬마가 생각할 수 있는 최대치였을 겁니다.

제 기억 속 철길에 또 다른 낭만을 더해줄 곳이 생겼습니다. 서울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 6번 출구로 이어진 ‘경의선 책거리’ 일대 말입니다. 낡은 철길이 젊음을 만나 ‘일상 여행’을 선물하는 공간으로 변신했다고 합니다. 책 읽다 사람 구경하고, 좀 걸으며 햇볕 쬐다 다리 아프면 차 한잔 마시고, 세련된 옷과 재미난 소품들 쇼핑하다 배도 채울 수 있는 곳으로요. 아쉬움도 조금 달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 살던 동네에선 고무공장이 사라졌고, 철길 주변은 터널로 뒤덮는 바람에 추억을 확인할 수가 없거든요. 빨리, 봄이 오면 좋겠습니다.

조혜정 팀장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