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어사 박문수가 작성한 건?

등록 2018-02-08 10:53수정 2018-02-08 11:00

[ESC] 커버스토리
흥미로운 조선시대 가계부
<저상일용>. 한국학중앙연구원 누리집 갈무리
<저상일용>. 한국학중앙연구원 누리집 갈무리

조선시대 가계부는 남성의 것이었다. 대부분의 여성이 글을 읽지도 쓰지도 못했던 시대이니 당연한 결과다. 이 시절 가계부는 당시 물가와 생활 풍습을 알 수 있는 귀한 문화재이기도 하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가계부는 흥미롭게도 ‘어사’로 유명한 박문수가 작성했다. 1733년 영조 때 만들어진 <양입제출>이란 가계부다. 책은 곡식 생산량, 각 지방에서 올라오는 선물, 농경지 경작료 등 수입을 기록하고, 매달 지출액을 자세하게 썼다. 이를 분석했더니 가장 지출이 큰 부분은 명절 쇠는 비용이었다. 한 해 동안 쌀 170섬을 쓸 정도였다. 그다음이 하인들의 새경(인건비)이었다.

어서 박문수 초상. 천안박물관 누리집 갈무리
어서 박문수 초상. 천안박물관 누리집 갈무리
책 앞에는 가장이었던 박문수의 지침이 적혀 있다. “흉년이 들어 백성의 생활이 곤궁하니 가계비용을 최소한으로 줄이라”는 내용이다. 실제 가계부엔 유흥비 같은 지출 내용이 없다고 한다.

조선 말기 학자 나암 박주대가 쓴 <과용하기>라는 가계부도 유명하다. 이 가계부는 1873년 나암이 장원급제하고 기분 좋게 술과 국수를 먹은 것부터 고향 잔치에 쓸 소 한 마리를 산 내용, 담뱃대, 가마 빌린 가격, 말 빌려 탄 내용 등을 깨알처럼 상세히 적었다. 조선시대판 ‘물가정보’로 사료적 가치가 높다.

<저상일용>은 무려 6대에 걸쳐 쓴 끈질긴 가계부다. 1834년 박한광이 시작해 1950년 박영래로 끝을 맺는다. 이 가계부는 단순 수입과 지출만 쓴 것이 아니라 기후변동, 농사일지, 길흉사 등 일상생활을 두루 담고 있다. 스마트폰 앱 등으로 가계부 작성이 훨씬 쉬워진 세상이지만, 과연 우리는 6대에 걸친 가계부를 쓸 수 있을까?

이정국 기자 jglee@hani.co.kr, 사진 한국학중앙연구원 누리집 갈무리

가계부

가정의 수입과 지출을 기록하는 장부. 제3자의 시각에서 가족 혹은 개인의 소비습관을 파악할 수 있어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기에 유용하다. 수입과 지출을 적은 뒤에는 분석과 반성, 변화가 필요하다. 요즘에는 종이가계부뿐 아니라 스마트기기용 가계부 앱도 많다. 한국 가계부의 시초는 어사 박문수(1691~1756) 집안에서 쓴 <양입제출>로 알려져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