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전라도 대표 산지’ 여수 사람들은 굴 어떻게 먹을까

등록 2018-12-13 09:27수정 2021-11-16 00:29

커버스토리┃
여수의 굴 맛집 ‘금천 종가집구이’의 굴찜. 박미향 기자
여수의 굴 맛집 ‘금천 종가집구이’의 굴찜. 박미향 기자

여수는 전라도의 대표적인 굴 생산지다. 여수수협 최순무 지도과장은 “국내 유통하는 굴의 70%는 경남 통영에서, 20%는 여수에서 생산한다”고 말한다. “여수 굴은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해 하루 4시간 이상 햇볕에 노출하고, 나머지 시간엔 바다 속에 둬 알이 크면서도 통통하다”고 한다. 24시간 바다 속에서 키우는 굴도 있다.

지난 7일 여수 양식 굴 생산 업체 ‘생굴·각굴’엔 바다 양식장에서 거둬 온 굴을 까는 10여명의 손이 바쁘게 돌아갔다. 아침 6시부터 오후 5시까지, 꼬박 11시간을 매달린다. 하루 일당은 8만원. 대부분 70대 노인이다. “전라도 굴의 시작은 여수”라는 ‘생굴·각굴’ 문태수(56) 대표는 “‘쪼시개’(전라도에서 굴 캐는 도구를 부르는 지역 말)는 기계화가 안 된다. 철저하게 수작업이다. 노인들이 떠나면 굴 유통이 될까 모르겠다”고 말한다.

1960년대만 해도 한국 굴은 양과 질에서 여수가 최고였다고 한다. 통영은 통조림용 굴 정도를 생산하던 곳이었는데, 1970년대 굴 양식에 성공한 후 1980년대 굴 생산업체들이 기업화하면서 역전됐다.

여수시 돌산읍 금봉리에 있는 ‘생굴·각굴’에서 배로 6.4㎞ 정도 가자 바다 양식장이 보였다. 배의 지피에스(GPS)엔 네모 모양의 줄이 그어져 있었다. 바다 위 양식장의 경계선이다.

문 대표는 “굴 양식은 면허권이 없으면 할 수 없다. 면허권은 10년에 한 번씩 여수시청 수산과에서 재발급받는데. 상속과 판매가 되는 권리증”이라고 말한다.

여수시 돌산읍 금봉리에서 배로 6.4㎞ 가면 나타나는 굴 양식장. 굴 양식업체 ‘생굴·각굴’의 채취선. 굴줄을 끌어당겨 취취하고 있는 모습. 박미향 기자
여수시 돌산읍 금봉리에서 배로 6.4㎞ 가면 나타나는 굴 양식장. 굴 양식업체 ‘생굴·각굴’의 채취선. 굴줄을 끌어당겨 취취하고 있는 모습. 박미향 기자

여수의 굴 구이 전문점 ‘정구굴구이’의 굴라면. 박미향 기자
여수의 굴 구이 전문점 ‘정구굴구이’의 굴라면. 박미향 기자

문 대표의 채취선에선 직원 3명이 하얀 부표 아래 붙어 있는 줄을 잡아당겨 굴을 끌어 올리고 있었다. 100미터 간격으로 줄 100개가 바다 속에 있는데, 한 줄에 120~130개 굴이 달려 있다. 아침 6시30분 출항해 대략 5~6톤의 굴을 채취한다. 문 대표는 패각굴(껍데기째 파는 굴) 25㎏은 택배비 포함 5만원, 20㎏은 3만원에 판다고 한다.

박신장(굴 껍데기 까는 장소)에서 맛본 여수 굴은 향긋하고 흐드러지게 물컹하다. 입안으로 쓱 미끄러져 들어간다.

2012년 여수엑스포 개최 이후 관광객이 몰리는 여수엔 요즘 굴 전문 식당이 성업 중이다. 골목마다 넘치는 굴 식당 중 어느 곳을 가야 할지 난감할 수도 있다. 고급 육류 레스토랑 ‘휴 135’를 운영하는, 여수가 고향인 김세경 요리사가 몇 곳을 추천했다.

여수의 굴 맛집 ‘금천 종가집구이’의 굴찜. 박미향 기자
여수의 굴 맛집 ‘금천 종가집구이’의 굴찜. 박미향 기자

‘금천 종가집 굴구이’(여수시 돌산 금봉리 금천리 1406/061-644-0340)는 지역민조차 잘 잘 모르는 숨겨진 식당이다. 허름한 나무 테이블이 16개. 비닐하우스가 고급 식당 못지않은 정겨운 인테리어 역할을 한다. 테이블마다 프로판가스가 설치돼 있는데, 1~2인분만 주문해도 굴이 한가득 나온다. 주인 이정률(62)씨는 “겨울에만 이 식당을 운영한다. 다른 계절엔 본업인 어부 활동에 전념한다”고 한다. 잘 익은 갓김치로 담근 동치미는 굴과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 오전 11시께 문 열어 저녁 7시30분까지만 입장 가능하다. 4~5㎏ 각굴의 가격은 3만5000원(4인분), 2인분은 3만원. 찐 굴을 다 까먹고 굴죽(1000원)까지 먹으면 오롯이 이곳을 즐긴 꼴이 된다.

여수의 굴 구이 전문점 ‘정구굴구이’의 굴파전. 박미향 기자
여수의 굴 구이 전문점 ‘정구굴구이’의 굴파전. 박미향 기자

최근 여행객이 몰리는 여수 굴 거리는 돌산읍 안굴전길 일대다. ‘정우굴구이’(여수시 돌산읍 안굴전길 57/061-643-6125), ‘안굴전원조직화굴구이’ 등 3집이 모여 있는데, 주차할 자리가 없을 정도로 사람들이 몰린다. ‘정우굴구이’ 박정우(46) 주인은 “굴 세척기를 직접 개발해 더 인기다”라며 “<런닝맨> 등에 소개돼 알려졌다”고 한다. 들어서면 왁자지껄 활기찬 분위기에서 각굴을 구워 먹는 이들이 많다. 굴 라면, 굴 파전도 별미다.

여수/글·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바다의 우유’로 불리는 겨울철 제철 식재료다. 칼슘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붙은 별명이다. 바위에 붙어 자라는 굴을 ‘석화’로 부르기도 한다. 굴 생산지는 서해안과 남해안에 고르게 분포해 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먹는 굴 종류는 ‘참굴’이다. 9월부터 수확을 시작하지만 보통 11~2월을 굴의 제철로 본다. 김장 속 재료나 국요리, 젓갈 등에 쓰이던 굴은 최근 고급화해 오이스터 바나 유명 레스토랑에 공급된다.

여수/글·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