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스포츠 스포츠일반

중국, 한·일 넘어서는 ‘올림픽 특수’ 기대

등록 2008-08-01 13:45수정 2008-08-01 13:51

베이징 올림픽 개막을 8일 앞둔 31일, 중국 특무경찰들이 베이징의 올림픽 주경기장 앞에서 행진하고 있다.  베이징/AFP 연합
베이징 올림픽 개막을 8일 앞둔 31일, 중국 특무경찰들이 베이징의 올림픽 주경기장 앞에서 행진하고 있다. 베이징/AFP 연합
“다시 세계 중심을 향해” 열망 불타올라
‘패권주의·공산당 독재 강화’ 비판여론도
베이징 올림픽을 극단적으로 비판하는 이들은 이번 올림픽을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 비유한다. 독일이 올림픽을 통해 나치 지배를 확립한 것처럼, 중국도 공산당 독재를 강화하려 한다는 것이다. 중국이 중화주의로 내부를 단결하고, 외부로 패권주의를 투사할 것이라는 의심이 깔려 있다.

중국은 이런 비판에 베이징 올림픽을 폄하하려는 비난이라고 삿대질한다. 올림픽을 통해 경제적 발전과 정치적 존경을 한꺼번에 얻으려는 중국으로선 사실 참기 힘든 모욕이다. 그래서인지 중국 관영매체들은 베이징 올림픽을 도쿄나 서울 올림픽과 비교하기를 즐긴다.

일본은 도쿄 올림픽을 통해 패전국에서 경제대국으로 도약했다. 2차대전서 패망했던 일본은 올림픽을 준비하면서 발전의 기반을 확고하게 다졌다. 일본은 엄청난 돈을 쏟아부어 사회기반시설을 확충했고, 이는 제조업과 건설업, 서비스업, 통신산업의 고속성장으로 이어졌다. 이른바 ‘도쿄 올림픽 특수’다.

올림픽 뒤에도 일본 경제는 승승장구했다. 올림픽을 계기로 이름을 알린 일본 주식회사의 세계화도 급속히 진행됐다. 일본의 경제규모는 1967년 영국과 프랑스를 앞질렀고, 1968년엔 당시 서독마저 추월했다. 미국에 이은 세계 두 번째 경제대국의 탄생이었다.

서울 올림픽은 한국을 개발도상국에서 신흥공업국의 선두주자로 격상시켰다. 한국 역시 올림픽을 준비하면서 대대적으로 사회기반시설을 정비했다. 그 결과 33만6천여개의 일자리가 생겨났다.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12.4%에 이르렀다. 1985년 2300달러였던 1인당 국민소득은 1990년엔 6300달러로 늘었다. ‘서울 올림픽 효과’라는 말이 풍미했다.

한국은 발전을 거듭해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성장했다. 올림픽을 전후로 권위주의적 통치도 약해지면서 정치적으로도 민주화가 빠르게 진행됐다. 1987년 6·10 민주항쟁은 이런 흐름을 가속화했다. 결과적으로 서울 올림픽은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이라는 올림픽 역사에서 보기 드문 해피 엔딩을 만들어낸 셈이 됐다. 베이징도 도쿄나 서울 올림픽에 맞먹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집중적인 투자가 일어난 2005~2007년 베이징의 총생산(GDP) 증가율은 연평균 11.8%에 이르렀다. 이는 10차5개년 계획기간(2001~2005년)에 비해 0.8%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올림픽의 경제적 효과는 특히 관광·건설·교통 분야에서 두드러졌다.

이미 경제대국의 반열에 오른 중국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는다. 중국은 베이징 올림픽을 통해 환경과 과학기술, 인문 분야에서 경제대국에 걸맞은 품격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자 한다. 개혁개방 30년의 결실을 확인하고, 중화민족의 부흥을 선포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서양의 침입에 굴복했던 근대의 아픔을 씻고, 다시 세계의 중심이 되고자 하는 열망이다.

그러나 벌써부터 베이징 올림픽의 그림자도 드리우고 있다. 국제앰네스티는 최근 중국이 올림픽 개최 전까지 인권을 개선하겠다는 약속을 저버렸다고 비판했다. 티베트(시짱)의 분리독립 요구와 신장위구르의 테러 위협이 불거지면서 공안 올림픽이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올림픽 이후 중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의 신용 위기에서 비롯된 세계적인 경기 위축과 함께 내부적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되면서 경착륙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올 정도다. 중국이 최근 하반기 거시경제 정책의 우선순위를 과열 방지에서 성장 유지로 전환한 데서도 그런 우려를 읽을 수 있다. 지금 베이징에선 올림픽 효과에 대한 기대와 의심이 공존하고 있다.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moon@hani.co.kr
이슈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스포츠 많이 보는 기사

여자국수 김채영 9단, 박하민 9단과 결혼…12번째 프로기사 부부 1.

여자국수 김채영 9단, 박하민 9단과 결혼…12번째 프로기사 부부

파리 생제르맹·레알 마드리드, 챔피언스리그 PO 1차전 승리 2.

파리 생제르맹·레알 마드리드, 챔피언스리그 PO 1차전 승리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3.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최성원과 차유람 앞세운 휴온스, 팀 리그 PO 기적의 막차 탈까? 4.

최성원과 차유람 앞세운 휴온스, 팀 리그 PO 기적의 막차 탈까?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2연승으로 1위 순항 5.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2연승으로 1위 순항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