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들에게도 야심이 있어서, 존재론의 영역에서 이 야심은 ‘인간과 세계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목표로 삼는다. 그 야심을 실현하려고 철학자들은 철학사를 더듬어 올라가는데 대개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2017-04-12 17:54
고명섭 논설위원 중국의 현대 철학자 리쩌허우의 대담집(<중국 철학은 어떻게 등장할 것인가?>)을 읽다보면 흥... 2017-03-28 17:16
1943년 2월 스탈린그라드 전투 패배로 아돌프 히틀러의 독일에 패색이 짙어졌다. 1944년 7월20일 북유럽신화 속 반신... 2017-03-21 17:59
고명섭 논설위원 대통령 탄핵 정국에 등장한 사진 가운데 가장 기괴한 사진 한 장을 고르라면 이것이 아닐까. 승복 ... 2017-03-07 17:19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 키케로는 요즘 나이로는 노년이라고 할 수 없는 63살에 삶을 마감했다. 키케로가 말년에 쓴... 2017-02-22 17:37
고명섭 논설위원 논문이라고 하면 보통 논리적인 언어로 쓰인 객관적인 글을 떠올리게 된다. 논문이라는 건축물은... 2017-02-14 18:13
지난해 이맘때 세상을 뜬 신영복은 <강의>와 <담론>이라는 강의록 두 권을 남겼다. 20년 감옥살이에서 닦은 사유가 응축된 작품이다. 신영복의 강점은 이론적인 탐구보다는 실천적인 지혜 쪽에 있다.... 2017-01-30 16:20
고명섭 논설위원 ‘시간이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철학적으로 탐구한 최초의 사람은 아리스토텔레스다. 아리스토텔... 2017-01-24 18:11
정유라 시험 조작 혐의로 구속된 류철균은 필명 이인화로 더 알려져 있다. 1992년에 발표된 이인화의 첫 장편소설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의 제목은 셰익스피어 비극 <리어왕>의... 2017-01-08 18:12
고명섭논설위원 박정희가 1963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시절에 쓴 글에 이런 구절이 있다. “/2등... 2017-01-03 16:08
고명섭논설위원 블레즈 파스칼은 <팡세>에서 인간을 짐승과 천사, 비참함과 위대함 사이에 놓인 존재라고 말한다... 2016-12-13 17:24
1789년 바스티유 습격으로 시작된 프랑스대혁명은 1791년 입헌군주제 수립, 1792년 군주제 폐지를 거쳐 1793년 루이 16세와 ... 2016-12-06 17:20
고명섭논설위원 때로는 환상이 현실보다 더 강력하게 정신과 행동을 지배한다. 지금 청와대 관저를 걸어 잠그고 국민에... 2016-11-22 18:08
청교도혁명으로 찰스 1세가 처형당하고 36년이 지난 1685년 아들 제임스 2세가 왕위에 올랐다. 제임스 2세의 취임 일성은 의회와 국법을 존중하겠다는 확약이었다. 그러나 약속은 곧 파기됐다. 찰스 1세의 왕권 ... 2016-11-09 17:53
고명섭논설위원 “비극이란 어마어마한 영화를 누리다가 비참하게 몰락해 최후를 맞는 사람에 관한 이야기다.” 영국 시... 2016-11-01 1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