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제주4·3] 동백에 묻다

UPDATE : 2023-09-25 22:10
제주4.3특별법은 제주4.3을 ‘1947년 3월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21일까지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무덤덤하게 정의한다. 하지만 당시 제주도 인구 10%에 이르는 2만5천~3만여명이 희생된 ‘한국 현대사의 비극’이었다. 그 상처는 현재진행형이다. <한겨레>가 2018년 70주년을 계기로 4·3의 현재적 의미를 되짚어봤다.
1 2 3 4

사회 많이 보는 기사

대전 초등생 살해 ‘방치된 폭력’…전문가 “가장 비겁한 사건” 1.

대전 초등생 살해 ‘방치된 폭력’…전문가 “가장 비겁한 사건”

‘장원영’이 꿈이었던 하늘양 빈소에 온 아이브 근조화환 [포토] 2.

‘장원영’이 꿈이었던 하늘양 빈소에 온 아이브 근조화환 [포토]

‘시청역 역주행’ 금고 7년6개월…법원 “급발진 인정 안 돼” 3.

‘시청역 역주행’ 금고 7년6개월…법원 “급발진 인정 안 돼”

“계엄 정권·극우의 하수인 된 교회…고개를 못 들겠다” 4.

“계엄 정권·극우의 하수인 된 교회…고개를 못 들겠다”

윤석열 대리인단, ‘박근혜 탄핵 변론’ 변호사 등 3명 추가 5.

윤석열 대리인단, ‘박근혜 탄핵 변론’ 변호사 등 3명 추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광고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