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반려동물

“환경부 개 사육시설 점검 엉망…미신고 분뇨 하루에 153톤”

등록 2017-10-19 14:44수정 2017-10-19 17:20

[애니멀피플] 방치된 개 사육시설
한정애 의원실 8개 지자체 조사 결과
미신고 시설만 519개, 8만9천마리
“수질보전지역 위치 시설 점검 이력도 이상”
개농장의 개들이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한 개농장 우리 안에 있다. 예산/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개농장의 개들이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한 개농장 우리 안에 있다. 예산/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환경부가 개 사육시설 점검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신고하지 않고 개를 키우는 농가에서 발생하는 분뇨가 하루 153톤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강원도, 경기도 등 8도에서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한정애 의원(더불어민주당)이 8개 도에서 받은 자료를 근거로 조사한 결과, 지난 9월 기준 8개 도의 개 사육시설이 2667개이고 개는 약 70만8733마리라고 발표했다. 이중 사육시설 신고기준인 60㎡를 넘어도 가축 분뇨 처리시설로 신고하지 않은 곳이 519개, 8만9989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마리의 개가 하루에 약 1.7㎏의 분뇨를 배출하기 때문에 전체 개들의 분뇨는 약 153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황을 살펴보면, 전라남도에 가장 많은 118개 시설, 2만9031마리가 있었다. 전북 2만2897마리(89개), 경북 만6158마리(106개) 순서였다. 특히 미신고 시설 중 100마리 이상이 152곳으로 가장 많았다. 300마리 이상이 55곳, 500마리 이상은 37곳이었고 1000마리 이상 시설도 4곳이나 됐다.

각 지방환경청의 점검 이력은 더 큰 문제였다. 8개 도에서 받은 개 사육농장을 각 소관 지방청에 보내 점검 이력을 확인해보니 제주도 90개소, 전라남도 209개소, 전라북도 180개소, 경상남도 157개소, 경상북도 106개소, 충청남도 372개소, 충청북도 312개소, 강원도 225개소, 경기도 763개소 등 대부분이 점검에서 빠져있었다. 특히 경기도는 가축사육제한구역으로 볼 수 있는 상수원보호구역, 수질보전특별대책지역에 개 사육시설이 있었지만 128개 시설 중 4개소만 점검했다.

한 의원은 “문제는 미신고 시설에서 나오는 가축 분뇨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관리가 안 되고 있다는 것이다. 개 사육시설에 대한 환경부의 점검 이력을 보면 기본적으로 점검 이력이 거의 없다는 것도 문제”라며 “모든 축종별로 허가와 신고기준을 따를 수 있도록 환경부가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박지슬 교육연수생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