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생태와진화

에어컨 온도, 남녀가 다툴 일 아냐…동물에게 물어봐

등록 2021-10-12 15:49수정 2021-10-12 16:50

[애니멀피플]
박쥐·철새 대규모 연구서
‘암컷 따뜻한 곳 선호’ 확인
신경·호르몬 차이, 새끼 보호 이유

여성은 남성보다 따뜻한 걸 좋아하고 작은 온도 차이에도 민감하다. 이런 차이를 진화생물학적으로 설명하는 연구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여성은 남성보다 따뜻한 걸 좋아하고 작은 온도 차이에도 민감하다. 이런 차이를 진화생물학적으로 설명하는 연구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공원 산책길에 스웨터를 입은 여성이 아직 반소매 차림의 남성을 지나간다. 여성이 남성보다 추위를 많이 탄다는 사실은 잘 알려졌지만 이런 현상이 사람뿐 아니라 다른 포유류와 조류 등에서도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남녀의 열 감각 차이는 애초 진화의 결과여서 에어컨 설정온도나 난방 시기를 두고 신경전을 벌일 일이 아니란 해석이 나온다.

탈리 매고리 코헨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박사 등은 과학저널 ‘지구 생태학 및 생물지리학’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동물의 암컷과 수컷은 온도를 다르게 느낀다. 이는 생식 과정과 새끼 돌봄 때문에 두 성별의 열 감지 체계가 다르게 진화한 결과”라고 밝혔다.

그동안 사람이 성별에 따라 선호 온도가 다르다는 사실은 잘 알려졌다. 여성은 남성보다 높은 온도를 좋아하며 작은 온도변화에 더 민감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여성이 쾌적하다고 느끼는 온도(26.3도)가 남성(25.3도)보다 1도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큰생쥐꼬리박쥐는 번식기 때 암컷과 수컷의 사는 곳이 완전히 구분된다. 라제쉬 푸타스와마이아,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큰생쥐꼬리박쥐는 번식기 때 암컷과 수컷의 사는 곳이 완전히 구분된다. 라제쉬 푸타스와마이아,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더운피 동물 가운데 이런 현상은 흔히 나타난다. 연구 책임자인 이런 레빈 텔아비브대 박사는 이스라엘에 서식하는 큰생쥐꼬리박쥐가 새끼를 낳고 전적으로 기르는 암컷은 번식기 때 따뜻한 갈릴리 해로 가지만 수컷은 서늘한 헤르몬 산 동굴에 몰린다는 사실을 이전 연구에서 밝힌 바 있다.

이런 현상은 새와 포유류에서 널리 발견된다. 철새가 겨울을 날 때 수컷은 암컷보다 더 추운 고위도로 간다. 새들은 암수가 함께 새끼를 양육하지만 월동지에선 암컷을 차지하거나 영역을 지키려고 다툴 필요도 없다. 그저 자기가 좋아하는 곳으로 갈 뿐이다.

알프스아이벡스 수컷이 높은 바위에 올라 아래를 내려다보고 있다. 데빌 댄서,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알프스아이벡스 수컷이 높은 바위에 올라 아래를 내려다보고 있다. 데빌 댄서,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포유류 가운데 산양의 일종인 알프스아이벡스는 낮 동안 기온이 오르면 수컷은 암컷보다 훨씬 고도가 높은 곳으로 이동한다. 또 평생 짝을 짓거나 무리 생활을 하는 종들도 수컷이 그늘진 곳을 찾는 동안 암컷은 햇볕 쬐는 곳에 있거나 수컷이 산꼭대기로 오르면 암컷은 계곡에 머물기도 한다.

연구자들은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온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2018년까지 37년 동안 이스라엘에서 채집해 가락지를 단 새와 박쥐 1만1000여 마리가 지점별로 어떤 성비 분포를 보이는지 조사했다. 새와 박쥐는 선호하는 기후대로 쉽게 이동할 수 있어 성별 선호 온도 차이가 잘 드러난다.

분석 결과 수컷이 낮은 온도를 좋아하고 암컷은 따뜻한 온도를 선호한다는 사실이 분명히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좋아하는 온도 차이가 암컷과 수컷이 서로를 필요로하지 않을 때는 성별의 격리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레빈 박사는 “이런 현상이 광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암컷과 수컷 사이에는 진화과정에서 형성된 열 감지 메커니즘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 같다”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그는 “이런 차이는 두 성별이 고통을 느끼는 감각의 차이와 비슷하다”며 “두 성별의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 메커니즘과 호르몬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 같다”고 말했다.

월동지를 선택할 때 철새 수컷은 암컷보다 온도가 낮은 고위도로 향한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월동지를 선택할 때 철새 수컷은 암컷보다 온도가 낮은 고위도로 향한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그렇다면 애초에 이런 차이가 진화한 이유는 뭘까. 매고리 코헨 박사는 “암컷과 수컷의 격리는 자원경쟁을 완화하고 공격적이어서 새끼를 해칠 수 있는 수컷을 떼어놓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또 “많은 포유류 새끼는 스스로 체온을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따뜻한 곳을 선호하게 됐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자들은 “사람과 많은 동물에서 보듯이 암컷은 서로 몸을 붙이는 걸 좋아하고 수컷은 거리를 두려는 경향을 보이는 것도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추위 타는 차이가 개인 취향이 아닌 진화적 뿌리에서 생겼다면 우리는 훨씬 관용적일 수 있다. 레빈 박사는 “두 성별이 다툴 일이 아니라 서로 거리를 좀 두고 저마다 평온을 즐기는 게 어떤가”라고 제안했다.

인용 논문: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DOI: 10.1111/geb.13393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