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생태와진화

올챙이의 새로운 호흡법, 공기 방울 흡입

등록 2020-02-28 15:51수정 2020-03-02 17:56

[애니멀피플]
어린 올챙이 공기 방울로 물 표면장력 회피…도롱뇽 유생도
올챙이가 물 표면에 입을 벌려 공기주머니를 만드는 방식으로 공기를 흡입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표면장력 때문에 물 밖으로 입을 내밀 수 없어 이를 우회하는 방식을 고안했다. 커트 스웽크 제공.
올챙이가 물 표면에 입을 벌려 공기주머니를 만드는 방식으로 공기를 흡입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표면장력 때문에 물 밖으로 입을 내밀 수 없어 이를 우회하는 방식을 고안했다. 커트 스웽크 제공.
연못이나 수조 속 올챙이를 관찰하면, 물 표면으로 헤엄쳐 올라왔다 작은 공기 방울을 남기고 다시 가라앉는 행동을 종종 볼 수 있다. 흔히 알려진 올챙이의 이런 행동이 척추동물에서 처음 발견되는 독특한 ‘공기 방울 호흡법’이란 사실이 밝혀졌다.

커트 스웽크 미국 코네티컷대 생태·진화생물학 교수 등은 “올챙이를 잡아먹는 도롱뇽을 연구하다 우연히 이 행동에 주목하게 됐다”며 “초당 500∼1000프레임을 촬영하는 초고속 접사비디오 촬영을 통해 올챙이의 행동을 조사했더니 표면장력을 회피하는 새로운 호흡법이 드러났다”고 과학저널 ‘왕립학회보 비’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밝혔다.

표면장력이란 물 분자끼리 서로 강하게 잡아당겨 뭉치는 힘으로, 유리 위 물방울이 둥근 이유이다. 물 표면은 표면장력에 의해 얇고 탄력 있는 막처럼 기능하기 때문에 소금쟁이 같은 가벼운 곤충과 거미 등이 물 위를 미끄러지듯 다닐 수 있다.

그렇다면 물속에 사는 작은 동물에게 표면장력은 어떻게 작용할까. 연구자들은 “작고 가벼운 물속 동물에게 물 표면은 지붕처럼 공기 속으로 나가는 것을 가로막는 구실을 한다”고 논문에서 설명했다.

물 표면의 이런 특징은 작은 올챙이에게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물고기 등 천적에게 잡아먹히지 않기 위해 개구리는 종종 산소가 부족한 웅덩이에 알을 낳는다.

올챙이는 아가미가 있지만 충분한 산소를 공급해 주지 못한다. 그 대응책으로 알에서 깬 올챙이는 사흘 만에 허파가 생겨 공기를 호흡할 수 있다.

문제는 3㎜ 크기 올챙이의 중량과 속도로는 표면장력으로 뭉친 물 표면을 뚫지 못한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이 촬영한 고속영상을 보면, 어린 올챙이는 주기적으로 전속력으로 물 표면을 향해 헤엄쳐 돌파를 시도하지만 번번이 ‘튕겨’ 나온다.

올챙이 두 종의 공기 방울 호흡법. 입을 물 표면에 밀착해 입속으로 표면을 당긴 뒤 입을 닫아 공기주머니를 떼어낸 뒤 허파 속으로 밀어 넣고, 남은 공기 방울을 뱉어낸다. 스웽크 외 (2020) ‘왕립학회보 비’ 제공.
올챙이 두 종의 공기 방울 호흡법. 입을 물 표면에 밀착해 입속으로 표면을 당긴 뒤 입을 닫아 공기주머니를 떼어낸 뒤 허파 속으로 밀어 넣고, 남은 공기 방울을 뱉어낸다. 스웽크 외 (2020) ‘왕립학회보 비’ 제공.
연구자들이 발견한 올챙이의 공기 방울 흡입법은 바로 이런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진화한 행동이다. 연구자들이 5종의 북미산 개구리를 대상으로 확인한 새 호흡법은 이렇다.

먼저 올챙이는 물의 아래 표면에 입을 대고 한껏 벌린다. 벌린 입은 원반 형태여서 물 표면과 밀착된다. 물 표면이 구강 속으로 끌려들어 온 형태가 된다. 올챙이는 허파를 압축해 그곳의 공기를 입으로 보낸다. 허파에서 온 공기와 밖의 신선한 공기가 구강에서 섞인다.

이제 입을 닫아 구강 속 물 표면을 잘라내 공기주머니로 만든다. 공기주머니를 압축해 허파로 보낸다. 허파의 부피는 구강보다 작기 때문에 남은 공기는 방울 형태로 입 밖으로 뱉어낸다.

이 모든 과정은 0.3초 동안 벌어지기 때문에 맨눈으로 보면 올챙이가 물 표면에 나와 입을 벌렸다 다문 뒤 물속으로 들어가면서 작은 공기 방울을 내놓는 것처럼 보인다. 스웽크 교수는 “올챙이가 그저 물 표면에서 호흡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동작 하나하나를 아주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는다면 실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알 수 없다”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그러나 올챙이가 자라 몸이 커지면 빠른 속도로 물 표면을 돌파해 공기를 흡입한다. 공기 방울 흡입법은 어린 올챙이 때만 쓰는 호흡법인 셈이다.

표면장력을 돌파하지 못하는 작은 올챙이는 표면에 입을 벌려 공기 방울 호흡을 하지만(왼쪽) 몸이 커지면 물 밖으로 입을 내 직접 공기를 호흡한다. 스웽크 외 (2020) ‘왕립학회보 비’ 제공.
표면장력을 돌파하지 못하는 작은 올챙이는 표면에 입을 벌려 공기 방울 호흡을 하지만(왼쪽) 몸이 커지면 물 밖으로 입을 내 직접 공기를 호흡한다. 스웽크 외 (2020) ‘왕립학회보 비’ 제공.
연구자들은 올챙이 이외에 도롱뇽 유생도 마찬가지로 공기 방울 흡입으로 호흡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물속 곤충인 물방개, 모기 유충, 일부 다슬기 등도 물 표면에서 날카로운 관으로 표면장력을 뚫는 등의 방식으로 공기 호흡을 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스웽크 교수는 “개구리처럼 수많은 연구가 이미 이뤄졌고 흔해빠진 동물일지라도 거기서 새로운 사실을 배울 수 있다는 건 학생들에게 훌륭한 교훈이 된다”며 “막상 연구에 들어갈 때면 모든 것이 이미 밝혀진 것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는 아니다. 끊임없이 관찰하고 질문을 던져야 한다”고 말했다.

인용 저널: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DOI: 10.1098/rspb.2019.2704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푸바오가 ‘비정상적 상태’?…중국 판다기지 “종합검사 계획” 1.

푸바오가 ‘비정상적 상태’?…중국 판다기지 “종합검사 계획”

나의 스트레스가 반려견에게…‘정서적 감염’ 테스트, 결과는? 2.

나의 스트레스가 반려견에게…‘정서적 감염’ 테스트, 결과는?

푸바오 고향 ‘판다 공장’의 암흑…NYT “혈변 볼 때까지 인공번식” 3.

푸바오 고향 ‘판다 공장’의 암흑…NYT “혈변 볼 때까지 인공번식”

추어탕 미꾸라지, 소금 비벼 죽이지 말라…세계적 윤리학자의 당부 [영상] 4.

추어탕 미꾸라지, 소금 비벼 죽이지 말라…세계적 윤리학자의 당부 [영상]

겨울철에도 푸른 잎, 붉게 익는 ‘사랑의 열매’ 죽절초 5.

겨울철에도 푸른 잎, 붉게 익는 ‘사랑의 열매’ 죽절초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