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전국일반

도시같은 시골 ‘농시’로 지방소멸 막는다

등록 2022-04-05 04:59수정 2022-04-05 10:10

충북도 압축형 농촌도시 농시 추진
문화 복지 교육 거점 마련
농식품부-지자체 농촌협약 체결도
충북도와 청주시가 추진하는 내수 농시. 청주시 제공
충북도와 청주시가 추진하는 내수 농시. 청주시 제공

인구감소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가 갈수록 고조되는 가운데, 농촌에 만드는 도시인 ‘농시’를 통해 위기를 극복해보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어 성공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충북도와 청주시는 예산 20억원을 들여 청주 내수읍 중심가에 복지·문화·교육 기능 등을 한데 모은 ‘농시’ 조성에 나섰다고 4일 밝혔다. ‘농촌형 자족도시’, ‘농촌형 압축도시’로도 불리는 농시에 각종 편의시설을 갖춘 타운을 조성해, 주변 농민 등의 시설 이용 편의성을 높여 인구유출을 막아보려는 취지다. 내수읍에 조성되는 농시는 마산리 경로당을 중심으로 만들어진다. 경로당을 새로 단장해 노인 의료공간, 노인·청소년 동아리·휴게 공간, 방송·영화 등을 보는 문화소극장 등을 만든다는 것이다. 지난해 경로당 주변에 교육공간 평생학습관과 도서관 등을 이미 조성했고, 농시에 이은 도시재생 사업도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내수 농시 계획도. 청주시 제공
내수 농시 계획도. 청주시 제공

내수 농시는 소멸 위기를 겪는 내수읍·북이면 등 청주 북부권 농촌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고 있다. 2014년 청원군과 합쳐진 청주시는 인구 86만1219명(2월 말 기준)으로 전국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인구 7위인 대도시지만, 외곽 농촌과 중심부 도시 사이 인구 편차와 불균형이 심각하다. 특히 과거 청원군 지역인 농촌은 빠른 고령화로 소멸 위기를 맞았다. 지난 2월 말 기준 청주시 전체 65살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은 14.3%지만, 미원면 42.9%, 낭성면 41.2%, 문의면 40.1%, 북이면 39.5% 등 외곽 농촌은 비중이 40% 선을 넘나든다. 최재효(53) 내수 농시 추진위원회 사무국장은 “같은 청주시민이지만 청주시청 등 도심까지 10㎞ 이상 떨어져 있으니 복지·문화 혜택은커녕 생존을 걱정해야 할 지경이다. 농시가 만들어져 주민과 마을이 생존하고, 생활이 나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괴산군이 2024년께 조성할 압축형 도시 괴산 미니복합타운. 군은 주거단지와 함께 체육관(왼쪽 아래)과 도서관(오른쪽 아래) 등 복합 문화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괴산군 제공
괴산군이 2024년께 조성할 압축형 도시 괴산 미니복합타운. 군은 주거단지와 함께 체육관(왼쪽 아래)과 도서관(오른쪽 아래) 등 복합 문화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괴산군 제공

충북도는 청주시 내수읍을 비롯해 △영동군 황간면 △증평군 증평읍 △괴산군 괴산읍 △단양군 매포읍 △옥천군 옥천읍 △음성군 삼성면 △진천군 진천읍 등 8곳에 농시를 만들고 있다. 이 가운데 괴산군 괴산읍 대사리 일대 20만3392㎡에는 2024년까지 아파트·주택 등 1816가구가 조성돼 주민 3377명을 수용하는 주거단지(괴산 미니복합타운)가 들어설 예정이다. 이들 주거단지와 복지·문화 공간은 주변 1㎞ 남짓한 거리에 있는 전통시장, 버스터미널, 병원, 반경 500~1000m 안 초·중·고와 어우러진다. 이차영 괴산군수는 “고령화·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괴산 미니복합타운 조성으로 지역 정주여건을 개선한 뒤 기업·인구 등을 늘리려 한다. 소멸을 막고, 지역을 활성화하려면 혁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자치단체 등이 ‘농촌협약’을 하고 공동 추진하는 농촌 생활 여건 개선도 눈에 띈다. 농식품부는 2020년과 지난해 전국 자치단체 30여곳과 농촌협약을 하고 사업을 벌이고 있다. 농식품부가 최대 300억원까지 국비를 지원하면, 자치단체 등이 자체 계획과 재원을 곁들여 농촌 혁신에 나선다.

경남 김해시는 지난해 7월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협약을 하고 611억원을 들여 2025년까지 생림·상동·대동면 등 3개 면으로 이뤄진 김해 동부생활권 농촌생활여건 개선사업을 진행한다. 대표적 사업으로는 생림면 나전리 안금마을에서 주택 수리, 지붕 개량, 빈집 철거, 스마트 가로등 설치 등 취약지역 생활개선 사업이 꼽힌다. 또 대동면 행정복지센터를 대동면 중심지역으로 옮기고, 상동면 행정복지센터를 새로 지으면서 문화복지시설을 설치한다. 생림면에서는 주민복지회관을 증축할 계획이다.

강원 평창군도 지난해 6월 농식품부 농촌협약 대상에 뽑혀 사업비 400억원을 확보했다. 평창은 도시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보육·복지·교통 기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평창읍 맞춤형 창의활동공간 조성, 미탄면·방림면 건강관리센터 조성, 대화면 어린이 창작센터 조성 등이다. 한왕기 평창군수는 “인구 감소와 지역소멸에 대한 고민에 따라 지역 실정에 맞는 농촌 정주여건 개선 사업 등을 벌이고 있다. 강원을 넘어 전국의 모델 사업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7월 농식품부·경북도와 협약한 상주시는 함창·낙동생활권(8개 읍·면)부터 사업을 벌이고 있다. 함창읍에는 청소년 문화공간, 아이돌봄, 문화어울림 등 시설을 마련하고, 낙동면에는 주민 체육공간 등을 갖출 예정이다. 황인진 상주시 지역개발팀 주무관은 “농촌 과소화를 막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도시 만큼 큰 시설은 아니더라도 해당 지역 주민들이 적절한 문화·복지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하려 한다”고 말했다.

전북은 전주를 뺀 13개 시군에서 소멸 위기 대응 사업을 진행한다. 읍면 소재지 등을 중심으로 농식품부와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을 하고, 도시 지역은 국토교통부와 도시 재생 사업을 벌인다.

전국 시군구 지방소멸지수. 한국고용정보원 제공
전국 시군구 지방소멸지수. 한국고용정보원 제공

이런 노력이 지방소멸을 얼마나 막아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전국 자치단체의 소멸위험도를 보면 2017년 85곳이던 소멸위험 지역은 지난해 106곳(46.5%)으로, 전국 기초자치단체 228곳의 절반에 가깝다. 마강래 중앙대 교수는 “지방소멸의 속도는 빨라질 것이고, 범위는 넓어질 것이다. 그동안 지방 대도시는 수도권 등 대도시에 인구를 빼앗겨도 주변 지방 중소도시에서 인구를 수혈받았지만 이제 그 수혈도 한계 지점이 보인다”고 덧붙였다.

전국종합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김규현 기자 gyuhy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대전 초등생 아버지 “교사가 아이 죽이는데 학교 어떻게 보내요” 1.

대전 초등생 아버지 “교사가 아이 죽이는데 학교 어떻게 보내요”

교사에 살해된 8살 아버지 “앱으로 여자 숨 휙휙대는 소리 들었다” 2.

교사에 살해된 8살 아버지 “앱으로 여자 숨 휙휙대는 소리 들었다”

그 교사, 8살 살해 4일 전 동료 폭행…컴퓨터 부수기도 3.

그 교사, 8살 살해 4일 전 동료 폭행…컴퓨터 부수기도

대전 초교서 8살 학생 흉기에 숨져…40대 교사 “내가 그랬다” 4.

대전 초교서 8살 학생 흉기에 숨져…40대 교사 “내가 그랬다”

명태균 “오세훈·홍준표 껍질 벗겨주겠다…특검법 대환영” 5.

명태균 “오세훈·홍준표 껍질 벗겨주겠다…특검법 대환영”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