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963명 대상 사용내역 설문조사
“20% 생활비도 취업 기초비용 이해
청년에 실제 필요한 정책임이 증명”
“20% 생활비도 취업 기초비용 이해
청년에 실제 필요한 정책임이 증명”
지난해 8월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청년수당)에 참여한 ㅂ(25·서울시 종로구)씨는 시에서 받은 50만원 중 32만원 이상을 영어 공부하는 데에 썼다. 토익학원 수강료로 28만원, 토익 교재구매에 3만5640원, 스터디 회비 1만원을 썼다. 17만원 남짓 남은 돈은 식비와 교통비, 통신비로 썼다. 교통비가 6만9200원, 통신비가 6만5300원가량 들었다. 편의점이나 패스트푸드점, 김밥집 등에서 8차례에 걸쳐 쓴 돈이 4만1400원이다.
지난해 8월 서울시 청년수당으로 현금 50만원을 받은 청년들이 취업이나 창업, 구직에 평균 69.9%를 쓴 것으로 조사됐다. 약 35만원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학원비나 취업상담비, 교재구입비, 세미나 등 모임비, 시험응시료나 면접 관련 교통비, 면접 사진 촬영비 등이다. 청년들은 식비나 교통비 등 생활비로도 20% 정도를 사용했다고 답했다. 이는 서울시가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와 함께 지난해 말 사업에 참여한 청년 가운데 9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는 서울시의 현금 지급 정책을 놓고 청년들이 취·창업보단 생활비로 더 많이 쓸 것이라는 일부의 우려와는 다른 것이다. 참여자의 가계 소득이 낮아도 생활비 사용 비중이 작은 사실은 달라지지 않았다. 가계소득이 없다고 답한 22명의 생활비 사용액 평균도 14만4000원에 그쳤고 가계소득 150만원 이하인 192명이 생활비에 썼다고 답한 평균액은 11만3500원에 머물렀다. 가계소득이 401만원 이상이라고 답한 70명은 9만4500원을 생활비에 썼다고 답했다. 조사에 참여한 서복경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연구원은 “생활비로 쓴 돈도 구직활동 기초비용이라고 이해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수당 지급에 대한 당사자들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다. 969명의 청년 중 66.8%가 만족(불만족 33.2%)한다고 답했다.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은 지난해 8월3일 첫달치 50만원을 2831명에게 지급한 뒤 보건복지부가 기존 중앙정부 사업과 겹친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직권취소해 잠정중단됐다. 시는 대법원에 복지부의 직권취소 처분을 취소하라는 가처분 신청과 본안 소송을 제기했다. 시는 올해에도 청년 5000명에게 6달 동안 매달 50만원씩 줄 수 있는 예산 150억여원을 확보하고 복지부와 협의 중이다.
기현주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센터 센터장은 “대상자들이 효능감을 많이 느끼는 정책은 드문데, 청년수당은 청년에게 실제 필요한 정책임이 증명됐다”며 “취업을 원하는 청년은 서울시 뉴딜 일자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연계해주고, 적성을 찾아가는 청년에게는 센터에서 함께 설계를 도울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이슈청년수당 갈등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