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시 수지지역 학부모비상대책위원회 회원들이 3일 오후 수지구청 앞에서 한유총의 ‘무기한 개학 연기’를 규탄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 용인/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4일 광주·전북·제주·대전·세종 등의 유치원은 모두 정상적으로 운영했다. 반면 경남에선 유치원 4곳 중 1곳이 개학을 연기했다. 개학 연기를 주도한 한국유치원총연합회 가입 유치원 비율에선 큰 차이가 없었음에도 집단행동 참여율에 차이가 났던 이유는 무엇일까?
무엇보다 지역 여론의 압박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호남지역은 한유총의 개학 연기에 대한 주민 여론이 특히 나빴다. ‘아이들을 볼모로 인질극을 벌이지 말라’는 적대적인 표현이 등장할 정도였다. 분야별 교원노조뿐 아니라 광주여성회, 전북여성·엄마민중당 등도 잇따라 성명을 내어 “동심을 무너뜨리는 집단행동을 중단하라”고 압박했다. 전북도교육청 관계자는 “한유총 눈치를 보던 원장들이 결정을 미루고 학부모와 지역의 여론 추이를 지켜보다 3월3일 정상운영으로 기울었다”고 전했다.
대전·세종시의 상황도 비슷했다. 유덕희 대전시교육청 유초등교육과장은 “학부모의 의식이 높아져 개원 연기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이 높았다”며 “이런 여론에 사립유치원 사이에서도 정부에 대한 불만은 대화로 풀어야지 원아들의 학습권을 볼모로 해서는 안된다는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지역의 돌봄대응 체제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유총이 지난달 28일 개학 연기를 결의하자 호남권 시·도교육청은 사흘 연휴 동안 대책을 서둘렀다. 광주시교육청은 11명으로 전담반을 꾸려 공립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아동 1만여명한테 긴급돌봄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완비했다.
반면 사립유치원 258곳 중 28.3%인 73곳이 개학을 연기한 경남도에선 여론의 압박이 상대적으로 덜했던 것으로 보인다. 경남도교육청 관계자는 “한유총의 이전 집행부 상당수가 경남에 포진해 있는 등 이른바 ‘한유총 강경파’가 많아 개학 연기 유치원이 많았던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부산의 경우는 유치원 290곳 가운데 55곳(15.8%)이 ‘통학차량 미운행’ 등의 형태로 개학 연기 움직임에 동참했다. 이를 두고 김형진 부산시교육청 대변인은 “정부 방침에 대한 불만은 많지만 여론이 우호적이지 않으니, 동참도 불참도 아닌 방법으로 사회적으로 관심을 끌어보겠다는 의도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안관옥 최상원 김영동 송인걸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