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전 서울역에 설치된 중구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새 사회적 거리두기 수칙 적용을 미룰 만큼 서울시의 코로나19 확진자 증가 추세가 심상치 않은 가운데, 서울시가 검사량 확대와 역학조사 보강에 나섰다. ‘검사·추적·치료’라는 3티(T) 방역전략이 느슨해지면서 지역사회의 ‘조용한 전파’를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 때문이다.
1일 0시 기준 코로나19 하루 신규확진자 334명 가운데 ‘감염경로 조사중’ 확진자는 138명으로 41.3%를 차지한다. 전날 48.8%(확진자 375명, 감염경로 조사중 183명)보다는 낮아졌지만, 30% 수준인 평소보다는 꽤 높은 수위를 이어가고 있는 셈이다. ‘감염경로 조사중’ 사례가 많을수록 깜깜이 전염이 많다는 의미여서, 방역에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다. 특히 현재의 확진자 증가가 수도권 영어학원 강사·마포구 음식점 집단감염을 제외하곤 이렇다 할 집단감염 사례도 없어 당국도 곤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감염경로 조사중’ 사례가 많은 것과 관련해 송은철 서울시 감염병관리과장은 지난달 30일 정례브리핑에서 “지역사회에 잔존감염자가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서는 서울시의 역학조사가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의 한 구청장은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확진자가 많은 것은 역학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지 않겠느냐”며 “(지난달 30일 열린 서울시장-구청장 방역대책회의에서) 일부 구청장들이 서울시에 역학조사의 범위, 기준을 강화하고 좀더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고 전했다.
서울시는 3차 유행 뒤 확진자 수 감소에 따라 복귀시켰던 서울시립병원·보라매병원 소속 ‘한시적 역학조사관’ 4명과 질병관리청에서 지원받은 역학조사관 6명을 이날부터 집단감염이 발생한 마포구 등에 투입했다.
역학조사뿐만 아니라 검사량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확진자 증가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지역사회의 ‘조용한 환자'들을 찾아내기 위해선 광범위한 검사가 이뤄져야 하는데, 3차 유행 이후 검사수가 줄어들었다는 지적이 나오기 때문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관계자는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지자체 등의 인적) 자원은 한정된 상태에서 예방접종 업무는 늘고, 확산세는 점차 안정화하다 보니 선별검사소 운영시간이 줄어든 측면이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활동 반경이 넓은 20∼30대를 중심으로 숨은 환자가 조금씩 늘어나며 확진자 수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애초 방역당국은 3차 유행이 진행되던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인구 이동이 많은 수도권 주요 장소에 증상이 없어도 누구나 익명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임시선별검사소를 설치해 운영해왔다. 그러나 서울의 임시선별검사소 상당수가 임시선별검사소를 감축운영하기도 했다.
이에 서울시는 보건소 선별진료소 운영시간을 주중 오후 5~6시에서 밤 9시로 연장하기로 한 상황이다. 다음주부터는 20대가 많이 찾는 학원가, 강남역, 마포, 청계광장 등에 찾아가는 선별검사소도 설치할 방침이다. 20대는 확진자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도 이날 “보건소에 선별진료소 운영시간 또는 현장 임시선별검사소 설치·운영 확대 등 진단검사의 접근성을 제고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태우 서혜미 기자
eh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