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생활치료센터로 운영중인 서울 종로구 한 호텔의 모습. 연합뉴스
코로나19 4차 유행에 따른 확진자 급증으로 생활치료센터 병상 부족 가능성이 대두하면서, 경기도에 이어 서울시도 ‘자가치료’ 확대 필요성 검토에 나섰다.
13일 오전 서울시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송은철 서울시 감염병관리과장은 “확진자가 더 폭증하는 것에 대비해 자가치료 대상 확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전날 청와대에서 열린 수도권 특별방역점검회의에서 이재명 경기지사와 함께 자가치료 확대를 건의한 바 있다.
현재 자가치료는 만 12살 미만 어린이와 그 보호자 혹은 돌봄이 필요한 자녀가 있는 성인 등을 대상으로만 가능하다. 하지만 최근 20~30대 무증상 경증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이들이 입원하는 생활치료센터 병상이 부족해질 가능성이 커 자가치료의 대상을 확대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에 건의한 것이다.
지난 12일 기준 서울시의 생활치료센터는 18곳 3298병상으로 가동률은 69%다. 지난 8일엔 77%까지 육박했지만, 서울시가 생활치료센터 추가 확보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시는 조만간 생활치료센터 2곳 1170병상을 추가로 확보해 확진자 증가에 대비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현재로써는 최대한 병상을 확보해 생활치료센터에 배정하겠지만, 감당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중앙정부가 사전에 자가치료의 기준을 만들어 달라는 요청”이라며 “병상확보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