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진구 주택가에 위치한 ‘아차산 아래 작은도서관 놀자’의 내부. 작은도서관 포털 사이트 갈무리
서울시가 7억 8200만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통해 ‘작은도서관 육성 지원’ 사업을 계속 추진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7일 “서울시의회에서 5일 추경안이 최종 통과됐다”며 “지난해 예산이던 5억6000만원보다 약 40% 증액된 규모”라고 밝혔다. 앞서 <한겨레>는 서울도서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서울시가 올해 작은도서관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한 사실을 보도한 바 있다. 보도 이후 논란이 확산하자 서울시가 뒤늦게
추경 예산을 편성한 것이다.
서울 시내 작은도서관은 1121개관(2022년 12월 기준)으로, 주민이 책을 읽고 빌릴 수 있는 ‘가장 가까운 도서관’이자 문화 쉼터의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오세훈 시장이 취임한 2021년부터 예산이 점차 줄다 2023년도 예산은 아예 전액 삭감됐다. 국민의힘 소속 구청장이 관련 사업을 폐지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서울 마포구는 지난해 말 예산을 절감한다며 작은도서관을 독서실로 바꾸려다 구민들 반발로 취소했다.
서울시는 기존에 추진되던 사업 뿐만 아니라 ‘우수 사례 공모사업’ 등을 새로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또 “자치구에서 직접 지원 계획을 수립해 육성이 필요한 작은도서관을 자체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작은도서관을 활성화하는 방안도 추가로 검토한다. 이를 위해 7월 초 전문가·협회·실무자 등으로 구성된 회의 협의체를 구성할 예정이다. 협의체에서는 우수 작은도서관에 인센티브를 부여하기 위한 평가 기준, 다른 도서관과 교류협력을 활성화하는 방안 등을 논의한다.
최경주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작은도서관은 서울시민이 어디서나 지식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도서관의 최전선”이라며 “자치구와 협력을 통해 작은도서관이 활성화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박다해 기자
doal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