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서울시립대 생활관 1층에서 열린 중국인 유학생과의 간담회. 서혜미 기자
서울시가 입국 예정인 중국 유학생 1만7천여명이 머물 임시거주공간을 확보해 건강상태를 예의주시하기로 했다. 시는 입국하는 중국유학생이 공항에서 학교까지 이동할 셔틀버스도 지원한다.
시는 자치구와 대학교와 함께 ‘서울시 중국입국 유학생 공동대응단’을 구성해 이러한 지원을 하겠다고 21일 밝혔다. 대상은 개강을 앞두고 국내 입국 예정인 중국 입국 유학생이다. 중국을 거쳐 입국하는 유학생도 대상에 포함된다. 다만 코로나19 증상이 없는 경우에만 특별입국절차를 거친 뒤 입국이 허용된다.
입국 예정인 중국 유학생은 1만7천여 명으로 대학교는 중국 입국 유학생을 기숙사, 대학 유휴시설 등에 우선 수용한다. 나머지 임시거주공간은 서울시와 자치구가 확보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인재개발원 등을 제공하고, 추가로 임시거주공간을 마련한다.
대학기숙사 바깥에 사는 중국 유학생은 대학 모니터 요원이 1:1로 1일 2회 이상 전화해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중국인 유학생은 ‘자가진단앱’으로 건강상태를 입력하도록 할 계획이다. 자치구와 서울시는 대학 내 모니터링 인력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해 인력 확보예산을 지원한다.
시는 이날 오전10시30분 서울시 기획상황실에서 교육부, 49개 대학, 25개 자치구와 코로나19 관련 중국 유학생 보호·지원방안 대책회의를 진행했다. 교육부는 중국에서 입국하는 유학생이 ‘자가진단 앱’에 입력한 정보를 서울시, 대학교와 공유하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유학생 관련 정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던 지자체와 대학교가 빠르게 상황대응을 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대책회의에서 “중국 유학생에 대한 막연한 반감과 경계심은 코로나19 바이러스 못지않게 우리가 극복해야 할 혐오 바이러스이다”며 “코로나는 언젠가 끝나지만 혐오는 남는다”고 밝혔다. 시는 대학교, 임시거주공간, 대학교가 밀집한 지역에 집중 방역을 실시한다. 중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생 및 인근 지역주민과의 유대를 돈독히 하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 소재 대학교에 다니는 중국인 유학생은 사이버대학교를 제외하면 49개 대학교에 3만4267명이다.
이정규 기자
j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