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우려되는 5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한우리정보문화센터 앞에서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특수임무대 도로건물방역팀이 방역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의 코로나19 확진자 동선과 관련해 구청별 정보 공개 기준이 달라 논란이 일고 있다. 생활권을 공유하는 주민들이 많은 상황에서 서초구와 송파구는 확진자가 다녀간 곳을 구체적으로 공개하지만, 강남구는 이를 밝히지 않아 혼란을 호소하는 주민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4일 <한겨레> 취재를 종합하면, 강남구는 확진자의 동선과 관련한 정보를 자세히 밝히지 않고 있다. 강남구 관계자는 “선의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상호 등을 공개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반면, 서초와 송파구는 확진자의 진술과 상가 안 폐회로텔레비전(CCTV) 등을 분석해 세부 동선을 공개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강남구 확진자가 서초구나 송파구를 거쳐 간 경우, 강남구에서의 정확한 동선은 파악이 안 되지만 서초구와 송파구의 동선은 상점 이름까지 자세히 확인할 수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서초구는 강남구 확진자 ㄱ(35)씨가 지난달 25일부터 1일까지 관내를 돌아다닌 동선 정보를 상호, 주소, 확진자 마스크 착용 여부를 포함해 공개했다. 반면, 강남구는 확진자 ㄱ씨의 동선을 업종명, 인근 지하철역 이름, 동 중심으로 밝혔다.
강남구 확진자 ㄱ씨에 대해 강남구청(왼쪽)과 서초구청(오른쪽)이 세부 동선을 공개한 내용. 각 구청 누리집 갈무리
이런 정보 공개 방식을 두고 강남구 주민들은 강남구청 페이스북 등에 비판 댓글을 다는 등 반발하고 있다. 강남구 주민 박아무개(41)씨는 “강남구의 확진자 동선 정보 공개가 모호해 불안하다. 강남구가 구민들의 불안을 외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남구는 지금의 정보 공개 방식을 유지하겠다는 태도다. 강남구 관계자는 “구는 선의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게 상호를 공개하지 않는다는 공식 입장을 내놓았다”며 “이 원칙에 따라 앞으로도 상호를 공개할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질병관리본부는 확진자가 다녀간 곳을 구체적으로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질본 관계자는 “확진자 이동경로 공개는 법적 의무사항으로 이를 이행하기 위해 질본에서는 상호 등을 공개해왔다”며 “확진자가 급속도로 늘면서 지방정부별로 동선 공개가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일관된 원칙을 적용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정규 기자
j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