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18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코로나19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 정례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경제적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8619억원 규모의 ‘코로나19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긴급 편성했다.
서울시가 8619억원 규모의 추경안을 편성해 19일 서울시의회에 제출했다. 시의회는 24일 추경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3월 조기 추경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대응 이후 처음이다.
시는 지난 18일 발표한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 외에도 매출이 줄어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책을 내놨다. 우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지원할 긴급경영안정자금을 기존 5천억원에 추경으로 3천억원을 더해, 모두 8천억원 규모로 조성했다. 이밖에도 49억원을 투입해 고금리에서 저금리로 대환하는 대출(600억원)을 지원하고, 소상공인의 이차보전금을 편성해 1만개 업체가 2천억 규모의 융자를 받을 수 있게 지원한다.
또 고용 유지, 임대료 인하 등을 독려하는 내용도 추경안에 담겼다. 5인 미만 소상공인 및 기술창업 기업의 노동자가 무급휴직하면, 서울시가 2개월 동안 매월 최대 50만원의 고용유지지원금을 지원한다. 또 임차인에게 임대료를 인하해주는 상생협약을 체결한 ‘착한 임대인(500명)’에게는 임차료 인하액의 30% 범위에서 건물보수, 전기안전점검, 방역 등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시는 관광객 감소와 공연 취소로 직격탄을 맞은 문화예술계와 관광업계 안정화를 위해 100억원을 투입한다. 시는 공모를 통해 225개팀을 선발해 예술작품 기획·제작을 지원할 계획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취소된 수준 높은 공연을 선정해 세종문화회관 공연장에서 공연하면, 유튜브나 네이버 등 온라인 매체를 통해 중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매출이 감소한 영세 여행업체 1천곳에는 코로나19 이후 여행수요 회복을 대비한 신규 맞춤형 상품 기획·개발 비용 모두 50억원을 지원한다.
시는 이밖에도 기초생활수급자 약 23만 가구와 법정 차상위계층 7만 가구에 대해 각 40~192만원(4개월분)을 지역사랑상품권 등으로 지급한다. 아동수당 대상 가구(0~7세) 전체에 총 40만원(4개월분)을 지역사랑상품권 등으로 지급한다.
시는 코로나19 조기종식을 위한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와 시민안전보호 강화에는 645억원을 투입한다. 자치구 보건소에 음압특수구급차 12대 추가, 격리기간(2주)에 대한 생활지원비, 위험 직업군(콜센터, 이동근로자 등) 등에 마스크 1300만장, 다중이용시설 방역비용 등에 쓰인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