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13일 오전 서울 구로구 보건소에서 구로구 코리아빌딩 콜센터 집단감염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중소여행사, 영세학원, 골목식당 등 코로나19로 직‧간접적 피해를 본 서울 지역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한 신용공급 규모를 기존 3조8050억원에서 5조900억까지 늘린다.
서울시는 25일 신용공급 규모를 이처럼 늘리는 내용의 ‘민생금융혁신대책’을 발표했다. 시가 신용을 보증해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가 은행으로부터 더 많은 대출을 쉽게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소상공인·자영업자가 대출을 받는 절차도 간소해진다. 시는 서울신용보증재단에 보증심사 전담인력 300명을 추가 투입해 심사 기간을 줄인다. 시금고인 신한은행, 우리은행과 전폭적으로 협력해 ‘서울시 민생혁신금융 전담창구’를 설치·운영한다. 통상 두 달 걸리던 보증심사를 다음 달 15일부터는 영업일 기준 열흘 안에 통장 입금까지 받을 수 있도록 하고, 1∼2회만 방문해도 된다.
또 지난 24일 서울시의회가 ‘서울시 코로나19 추경’을 가결함에 따라, 임대료·인건비 등 고정비용 마련을 위한 ‘골목상권 119 긴급대출’(2천억원 규모), 이자비용 절감을 유도하는 ‘고금리 대환대출’(600억원 규모) 등의 지원책도 서울시가 즉시 시행할 방침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오전 코로나19 정례브리핑’을 통해 “서울경제의 허리에 해당하는 66만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자금 활로를 확대하고 현장에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다각도의 민생금융혁신대책을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